2030년 스마트 항만 구축…거대 물동량 '20억톤' 전진기지
해수부, 2030 항만정책 방향 및 추진전략 발표
광양항 테스트베드, 2026년까지 5940억 투입
항만자동화 시험 후 부산항 '진해신항'에 도입
신규부두 중심의 구축, 일자리 손실 최소화
입력 : 2020-11-17 11:09:13 수정 : 2020-11-17 13:55:55
[뉴스토마토 이규하 기자] 정부가 내년부터 부산항 등 항만 자동화·디지털화를 통해 스마트 해상물류 기반을 구축한다. 특히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고부가가치 스마트 항만이 실현되는 10년 후에는 20억톤에 달하는 거대 물동량의 전진기지가 될 전망이다. 83조원 규모의 생산과 28조원 가량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17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57회 국무회의’를 통해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을 보고·확정했다. 항만정책 방향은 4차 산업혁명 기술 발전에 따른 항만물류 디지털화·지능화 추진, 지속적인 인프라 확충 등 항만 글로벌 경쟁력 강화, 항만과 지역 간 상생 등이다.
 
추진 전략을 보면, 해수부는 내년부터 오는 2030년까지 항만 자동화·디지털화를 본격 추진한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광양항에는 5940억원을 투입, 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시험장·Test Bed)를 구축키로 했다.
 
지난 16일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이 정부세종청사 내 해수부에서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에 대한 사전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시험장에서는 국산화 기술 개발과 운영 노하우를 쌓은 후 테스트베드 검증을 거쳐 부산항 제2신항에 국산화된 자동화 기술을 도입한다. 3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초대형선이 접안할 수 있는 부산항 제2신항은 2022년 착공 예정이다. 부산항 제2신항의 명칭은 ‘진해신항’이다.
 
한국형 스마트 항만의 가동은 2030년부터 본격화한다. 항만자동화는 컨테이너 자동하역, 안벽-장치장, 화물이송을 위한 자율주행기술 등 세계 수준의 완전자동화 도입에 기술 개발을 집중한다.
 
더욱이 항만 내 무인차량 이송(Auto Guided Vehicle) 기술과 ‘선박-장치장-게이트’까지 화물 전체의 흐름을 완전히 연결할 수 있는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아울러 선사, 터미널 운영사 등 이용 주체 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자율운항선박, 자율주행트럭 등과 연계된 지능형 항만물류체계를 완성할 방침이다.
 
자동화 기술 도입에 따른 일자리 손실은 최소화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이에 따라 자동화 항만 구축은 신규부두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기존 부두는 노사정협의를 거쳐 단계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자동화 과정까지 양질의 일자리 전환 등 노조 측과의 협의를 지속한다는 게 해수부 측의 설명이다. 해수부 측은 “양질의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직무전환을 위한 기술교육, 이전배치, 부두 간 고용승계 등을 지속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국제적 공급체계(Global Supply Chain)’ 변화에도 대응한다. 또 안정적인 항만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권역별 특화 전략도 추진한다.
 
인천항의 경우는 컨테이너 부두 3선석과 배후단지 587만㎡의 신항을 개발, 송도신도시 내 지하차도 건설을 통해 수도권 소비재 중심의 물류클러스터로 키운다.
 
평택·당진항은 자동차·잡화·양곡화물 처리 및 배후산단 지원을 위한 인프라 확충으로 수도권 산업지원항만을 육성한다. 군산·새만금항의 경우는 군산경제 활력 제고를 위해 해상풍력 지원 부지를 확보한다.
 
목포항은 해상풍력 지원부두(철재) 및 배후단지(72만㎡) 개발을 통해 대불·영암산단 등의 제조 산업(조선·철강·자동차 등) 활성화를 지원한다. 제주권은 제주 내·외항의 기능을 크루즈부두에서 잡화부두 등으로 전환한다.
 
울산항의 경우는 해상 주유소로 불리는 LNG 벙커링 터미널 등 에너지·물류 전진기지로 육성한다. 동해권 항만인 울산항에는 에너지 부두(18선석) 및 배후단지(78만㎡)를 건설해 동북아 에너지 허브 항만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부산항 북항(2단계), 인천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 등 14개 항만, 2153만㎡ 부지에 대해서는 항만재개발을 추진한다.
 
지난 16일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이 정부세종청사 내 해수부에서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에 대한 사전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시멘트, 모래, 양곡 등 분진형 화물의 비산먼지 발생을 줄이기 위한 밀폐형 방진 하역시스템도 도입한다. 환경피해를 줄이기 위해 항만과 도심 사이 수림대 형태의 친환경존(Eco-Zone)도 설정한다.
 
항만 내 해상 풍력 지원 부두 건설과 수소항만 구축을 위한 연구도 시행한다. 지진·태풍·강풍·해일 등 대형 자연재난·재해에 대비하기 위해 항만설계 기준도 재현빈도 50년에서 100년으로 상향한다.
 
이에 따라 해수부는 2030년까지 83조원의 생산과 28조원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밖에 총물동량은 19억6000톤으로 건설 분야 등 55만개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보고 있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이번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에 따라 향후 10년간 항만 개발을 차질 없이 추진해 국제 환경의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가 항만물류 선진국으로서 발돋움할 것”이라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디지털 항만을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규하 기자 judi@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이규하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