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페이스 시대 열린다①)누리호·다누리 영광, 우주영토 확대로 꽃 피운다
누리호 3차 발사 추진 등 고도화 사업 돌입
2032년 달 착륙·2045년 화성 탐사 등 우주 생태계 개척
우주항공청 설립으로 우주경제 전담 거버넌스 구축
입력 : 2023-01-03 06:00:00 수정 : 2023-01-03 08:46:50
2022년은 한국 우주 산업의 기념비적인 해다. 두 번의 발사 시도 끝에 100% 국내 기술로 개발한 발사체가 우리 땅에서 하늘로 날아올랐고, 달을 향한 첫 도전도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인류가 50년만에 추진하는 달 탐사 사업에도 당당한 일원으로 참여했다. 정부는 이 같은 동력을 발판으로 '7대 우주 강국'으로 우뚝 서겠다는 원대한 꿈을 실현하려 한다. 전세계적으로 우주개척 열기가 뜨거운 상황에서 뒤쳐지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기도 하다. <뉴스토마토>는 국내 우주산업의 현황과 과제 등을 세 편에 걸쳐 조망해본다. (편집자주)
 
[뉴스토마토 김진양 기자] "누리호 발사의 성공을 시작으로 미래세대에게 무한한 기회를 여는 우주 경제 시대의 막이 올랐다."
 
윤석열 대통령은 2023년 신년사에서 우주항공 기술을 인공지능(AI), 첨단바이오 등 미래 전략기술과 동일 선상에 올려두며 이 같이 말했다.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한민국 우주경제 가동'을 올해의 8대 핵심 과제 중 최우선으로 수행한다. 위성과 발사체 개발 등 개별기술 확보를 넘어 산업생태계를 본격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우선은 올 상반기 중 누리호 3차 발사를 추진해 독자적 우주탐사기술 고도화를 꾀한다. 누리호의 반복 발사를 골자로 하는 '한국형발사체 고도화 사업'의 개시다. 2027년까지 6873억원을 투입해 총 4번의 발사를 진행하며 신뢰도를 높이겠다는 것인데, 민간기업 기술 이전도 함께 진행된다. 누리호 개발에 깊게 관여했던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기업으로 선정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관련 기술과 노하우를 이전받는다. 
 
이와 함께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에도 본격 착수한다. 누리호보다 큰 100톤급 추력을 보유하고 추력 조절과 재점화가 가능하도록 개발 방향을 수립했다. 2032년을 목표로하는 1.8톤급 달 착륙선도 차세대 발사체에 실려 우주로 향한다. 정부는 해당 프로젝트에 총 2조132억원을 쏟아붓는다. 
 
새해부터 달 상공 100㎞ 궤도를 돌며 탐사 임무를 시작한 달 궤도선 '다누리'의 후속 작업으로 달 연착륙 검증선과 착륙선도 독자 개발한다. 달 표면 연착륙 실증과 임무 수행 등으로 탐사 역량 강화를 목표로하는 이 사업에는 2033년까지 6286억원이 투입된다. 올해 중 달 탐사 2단계인 달 착륙선 개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한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지난 6월21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중장기적으로는 우주개발 2.0으로 거듭나는 '제4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을 실행한다. 지난 2020년 기준 세계 시장의 1%에 불과한 한국의 우주산업 규모를 2045년 1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정부의 우주개발 투자도 지난해 7300억원에서 2027년 1조5000억원으로 확대한다. 공공사업 확대는 물론, 민간중심의 전환을 꾀해 우주산업과 시장 창출을 적극 지원한다. 
 
우주경제로 나아가기 위한 주요 임무로는 2032년 달 착륙, 2045년 화성착륙 성공 등 무인탐사의 독자적 능력 확보를 내세웠다. 동시에 유인탐사, 우주정거장, 탐사기지 등의 국제협력에도 적극 동참한다. 아울러 우주수송 능력과 거점 완성을 통해 아시아 우주수송 허브로 발돋움한다. 
 
오태석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2045년 정도까지는 유인 우주인을 발사할 수 있는 발사체 역량을 갖추겠다는 목표를 설정한 것이 4차 우주개발기본계획"이라며 "민간의 우주 참여를 위해서는 제도적인 틀을 우선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빨리 확충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주개발 2.0으로 대폭 전환한다는 것은 위성과 발사체 중심이었던 우주정책 영역을 우주탐사, 우주과학, 우주산업 영역까지 확대한다는 의미"라며 "우주관련 부품 소재, 위성활용 등 기존에 시도하지 못했던 것에 대한 부분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같은 구상들을 순조롭게 이행하기 위해서는 우주경제 전담 거버넌스가 완비돼야 한다. 정부는 앞서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을 본격 육성하기 위한 성장 거점으로 '우주 산업 클러스터'를 지정·구축했다. 경남을 '위성 특화지구', 전남을 '발사체 특화지구', 대전을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로 지정하고 이들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이를테면, 경남에는 위성제조 혁신센터 건립을 추진해 위성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전남에는 민간 발사장 등 핵심 기반기설을 구축해 발사체 산업 육성의 최적의 여건을 갖추는 식이다. 정부는 지난해 말부터 민간이 구축하기 어려운 우주 기반시설 관련 사업의 예타 조사 추진에 돌입했다. 2031년까지 약 8000억원 규모의 우주산업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올 상반기 우주항공청의 안정적 운영성 확보를 위한 특별법을 상정해 하반기 중에는 직제와 시행규칙 등 하위법령을 마련할 예정이다. 현재 과기정통부 내에 우주항공청설립추진단이 출범했으며 100여명의 전문가 자문단 풀이 구성돼 우주항공기술과 제도, 기술사업화 등 관련 분야의 산·학·연 의견 수렴이 진행 중이다.  
 
김진양 기자 jinyangkim@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김진양

안녕하세요. 뉴스토마토 산업1부 김진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