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10년 폭염 강도 2배, 더 더워진다
환경부 2021~2030년 폭염 위험도 평가, 2배 높아질 것으로 전망
입력 : 2019-08-01 14:17:04 수정 : 2019-08-01 14:17:04
[뉴스토마토 백주아 기자] 앞으로 10년내 우리나라의 폭염 위험도가 지금의 2배 가량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구 평균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일최고 기온이 오르고, 고령화에 따른 노인비율 증가 등의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폭염위험지도 자료/환경부
 
1일 환경부는 기상청 기후전망 시나리오를 활용해 전국 229곳 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2021~2030년 '폭염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를 공개했다.
 
폭염은 일반적으로 일 최고기온이 33℃ 이상일 때를 말하며, 일 최고기온이 33℃ 이상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폭염주의보가 발령된다. 
 
지난해 폭염 일수는 31.5일, 온열 질환자 4526명이 발생해 이중 48명이 숨졌다. 이는 2000년대 평균 폭염 일수인 10.4일의 약 3배고, 2011~2017년 연평균 온열질환자(1132명·사망 11명)보다는 4배에 달하는 수치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21~2031년 폭염 위험도는 기준년도(2001~2011년) 대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온실가스 저감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된 상황에 해당하는 시나리오로 현재 수준으로 온실가스가스 배출이 지속하면 우리나라의 3곳 중 1곳(78곳)은 폭염 위험도가 매우 높아진다.
 
폭염 위험도가 ‘매우 높음’으로 나타난 지역은 19곳에서 48곳, ‘높음’ 지역은 50곳에서 78곳으로 나타로났다. 지자체별로 보면 '매우 높음'은 서울 강서구·동대문구·동작구·양천구, 부산 동구·영도구·중구, 대구 남구·달서구·동구·서구·중구 등으로 관측됐다. 광역 지자체별로 살펴보면 14곳의 기초 지자체가 포함된 전남이 가장 많다.
 
반면 ‘낮음’과 ‘매우 낮음’ 지역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폭염 위험도가 '낮음' 지자체는 64곳에서 32곳, '매우 낮음'은 16곳에서 6곳으로 각각 감소했다. 
 
환경부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에 따라 일최고기온 등 위해성이 증가하고, 고령화에 따른 65세 인구, 독거노인 비율 등 노출성이 증가하며, 도시화면적 비율과 같은 취약성이 증가함에 따른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일상화되고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측되는 폭염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지난달 10일 '폭염대응지원단'을 발족해 지자체의 폭염대응력 제고와 민감계층이 당장의 폭염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단기적 지원을 추진하는 등 총력 대응하고 있다. 
 
또 7월부터는 독거노인, 차상위계층 등 폭염에 취약한 전국 900가구와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 어르신 이용시설 전국 1000곳을 방문하해 양산, 부채 등 폭염 대응용품을 전
달하고 행동요령을 안내하는 등 ’찾아가는 현장 서비스 확대’도 추진하고 있다.
 
폭염 행동요령은 △더운 시간대 휴식하기 △시원한 옷을 입고 양산 쓰기 △물을 자주 마시기 △식중독 예방하기 △주변 사람 건강 살피기 등이다.   
 
배연진 환경부 신기후체제대응팀장은 “지자체별 다양한 여건을 고려한 현장 중심의 지원으로 폭염 피해를 최소화해 나가고, 폭염 등 기후변화에 대해 국민들의 인식도 높일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홍보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폭염 위험도(폭염도)란 2014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5차 보고서에 제시된 개념으로 뜨거운 날씨가 지역사회와 인간에게 미치는 위험성 정도를 나타내며, 매우 높음–높음–보통–낮음-매우 낮음 등 5단계로 나뉜다.
 
날씨의 물리적인 위험을 나타내는 '위해성'과, 위해성이 인체에 얼마나 노출될 것인지를 보여주는 '노출성', 인체를 위해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정도를 뜻하는 '취약성'을 종합해 산출한다.
 
폭염위험도 평가는 지난해 유례없는 폭염으로 인명·재산상의 피해가 크게 발생한데다, 지구 온난화로 폭염의 빈도와 강도가 더 커질 것이란 예상에 따라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능력을 높이자는 취지에서 작성됐다. 
 
세종=백주아 기자 clockwork@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백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