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상한제 다가오는데…건설사들 주택 일감 고민
리스크 큰 자체사업 주저…주택사업 불황 깊어질 전망
입력 : 2019-09-15 06:00:00 수정 : 2019-09-15 06:00:00
[뉴스토마토 김응열 기자] 대형 건설사들이 아파트 등 주거 부문뿐 아니라 상가, 오피스 등 비주거 분야에서도 자체 사업에 좀처럼 나서지 못하고 있다. 직접 시행을 맡는 자체 사업으로 스스로 일감을 확보하고, 성공할 경우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토지 매입, 인·허가 지연 등 리스크도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에 정부가 예고한 분양가 상한제 확대 적용 시점이 한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일감 확보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늘어 건설산업 불황이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 내 한 건설현장 모습. 사진/뉴시스

1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형사들은 아파트 외에 비주거 부문에서 자체 사업을 추진하는 데에 소극적인 분위기다. 삼성물산은 주거, 비주거 부문 모두 자체 사업을 진행하지 않고 있다. 롯데건설도 직접 시행에 나서기보다는 수익성이 좋은 사업장 중심 선별 수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SK건설도 지식산업센터 외에 아파트나 상가, 오피스 등에서 자체 사업을 추진하거나 확장할 계획은 아직 없다. 현대건설은 올해 자체 분양하는 아파트 단지 한 곳 외에는 비주거 부문의 자체 사업이 없다. GS건설도 비주거 부문에서는 자체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 않다. 다른 대형사도 비슷한 상황이다.
 
이처럼 건설사들이 비주거 부문의 자체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건 사업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다. 토지 매입 비용을 조달하는 것부터 인·허가 지연에 따른 지출 증가, 예상치 못한 규제 등을 감당하기가 부담스럽다는 반응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자체 사업은 부담해야 할 위험이 너무 크다”라고 설명했다.
 
건설사들이 선호하는 주택 사업도 리스크가 상당한 건 마찬가지다. 자체 시행으로 사업에 나섰다가 분양가 상한제 적용 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수익성이 급감할 우려가 높다. 업계 관계자는 “규제로 부동산 시장이 불확실하다”라며 “경기 하방 압력도 커지고 있어 주거와 비주거 모두 자체 시행에 나서기 조심스럽다”라고 언급했다.
 
다음달 분양가 상한제가 확대 적용되고 일감난이 본격화할 경우 건설사의 체감 경기는 더 나빠질 공산이 크다. 대부분 대형사들이 자체 사업을 추진하거나 확장할 계획이 없는 상황에서 정비사업 물량까지 감소하면 먹거리 경쟁도 더 치열해질 것으로 관측된다. 대형사는 지금도 일감이 부족해 정비사업의 규모를 가리지 않고 수주에 나서는 상황이다. 
 
일부 대형사가 디벨로퍼로 체질 개선을 꾀하고 있지만 업계 분위기를 바꿀 만큼 바람이 거세지는 않다. 대우건설은 최근 부동산간접투자기구인 리츠(RETIs) 산업 진출을 추진하며 부동산 개발업에 손을 뻗고 있지만 아직 시작 단계다. 대림산업은 그나마 자체 사업이 진척을 보이는 편이다. 회사는 석유화학 공장에 직접 투자하면서 수익성 향상을 노리고 있다. 
 
업계에서 이미 디벨로퍼로 위상을 굳힌 HDC현대산업개발은 주거, 비주거 부문에서 부동산 개발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경기 의정부 주상복합개발, 서울 용산역 지하공원개발, 인천 도시개발 등을 비롯해 광운대 역세권개발, 서울 용산병원부지개발, 경기 파주 서패동개발 등을 준비 중이다. 
 
HDC현대산업개발뿐 아니라 다른 건설사들도 자체 사업의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다. 수익성이 높고 상당한 역량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건설업계 성장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장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자체 사업에 나설 수 있도록 정부의 규제 해소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소연한다. 업계 관계자는 “위험을 덜어낼 수 있도록 정부가 발맞춰줘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응열 기자 sealjjan11@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김응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