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박주용

rukaoa@etomato.com

꾸미지 않은 뉴스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영상)대통령 한마디에 정국은 아수라장

"UAE 적은 이란" 발언에 한-이란 관계 휘청

2023-01-24 15:02

조회수 : 4,119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아랍에미리트(UAE)를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5일(현지시간) 현지에 파병중인 아크부대를 방문해 장병들을 격려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의 적은 이란' 발언에 한·이란 관계가 크게 휘청이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의 거듭된 해명에도 이란 정부는 "조치가 충분하지 않았다"며 여전히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데요. 야권은 이를 '외교 참사'로 규정하고 공세에 나서면서 여야 대립도 더욱 격화됐습니다. 윤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정국이 그야말로 아수라장인 상황인데요. 윤 대통령의 발언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민주당에서는 "오죽하면 '대통령의 입이 대한민국의 최대 리스크' 라는 말까지 나오겠느냐"며 윤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24일 이란 국영 IRNA통신에 따르면 나세르 칸아니 외무부 대변인은 23일(현지시간) 정례 기자회견에서 "테헤란과 서울에서 우리는 진지한 입장을 전달했다"며 "대화에서 한국 정부는 실수를 바로잡으려는 의지를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도 "우리 관점에서 (한국 정부의) 조치는 충분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윤 대통령의 발언으로 양국이 대사를 '맞초치'하는 사태가 불거진 뒤 처음 나온 이란 측의 반응입니다.
 
윤 대통령 입 리스크·이란 갈등 뇌관
 
이란 정부가 강경 대응을 지속하고 있는 데에는 무엇보다 윤 대통령의 경솔한 발언이 문제가 됐습니다. 역사적으로 UAE와 이란의 사이가 나빴던 것은 맞지만, 최근 양국 관계는 급속히 개선됐다는 게 외교계의 평가인데요. 윤 대통령이 복잡한 중동 정세를 제대로 고려하지 않고 개입하면서, 어려운 한·이란 관계를 더욱 위태롭게 만들었다는 평가입니다. 특히 이란은 중동에서 사우디 다음으로 2~3위권의 원유 강국이라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중동 외교의 중요 국가 중 하나인데요. 안보적인 측면에서도 우리 정부는 이번 사태로 호르무즈해협을 지나는 우리 선박이 위험에 처할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안전 대책을 협의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여기에 이란 정부는 윤 대통령의 발언을 빌미로 미국의 제재 때문에 한국의 은행에 묶여 있는 70억달러(약 8조원)의 원유 대금 문제까지 제기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 이번 사안과 무관한 핵비확산조약 문제까지 거론하며 자신들의 핵 활동에 대한 미국 등 국제사회의 제재가 부당함을 강조하고 있는데요. 우리 정부로서는 여러모로 난처한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지난해 9월12일(현지시간)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제7차 재정공약회의를 마친 뒤 대화를 나누고 있는 모습을 MBC가 보도했다. (사진=MBC 유튜브 채널 캡처)
 
'바이든 대 날리면'외교 참사 예고편에 불과했다
 
윤 대통령의 발언 논란은 여기에 그치지 않습니다. 지난해 9월 미국 순방에서 있었던 윤 대통령의 '바이든 대 날리면' 발언 논란은 여야의 극한 대치 국면을 유발했습니다. 윤 대통령이 미국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재정공약회의 행사에 참석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만난 뒤 행사장을 빠져나가며 비속어가 섞인 발언을 하는 장면이 카메라에 포착돼 논란이 됐는데요. 이 과정에서 '바이든 대 날리면'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MBC는 윤 대통령이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은 쪽팔려서 어떡하나"라고 발언했다고 보도했는데, 대통령실은 '바이든'이 아니라 '날리면'이라고 주장한 겁니다.
 
윤 대통령의 해당 발언으로 전 국민은 본의 아니게 '바이든 대 날리면' 듣기평가를 치러야 했는데요. 이를 처음 보도한 MBC는 자막조작 편파·왜곡 방송의 주홍글씨가 씌어졌고, 급기야 두 달 뒤인 지난해 11월 윤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에 소속 기자의 대통령 전용기 탑승 불허로 이어졌습니다. 이어 외교부가 윤 대통령의 비속어 발언을 최초 보도한 MBC를 상대로 정정보도청구 소송을 제기한 사실도 뒤늦게 확인됐습니다.
 
'주 52시간제 개편'·'취학 연령 하향' 논란 자초
 
이뿐만이 아닙니다. 정부는 지난해 6월23일 주 52시간제의 연장근로시간 관리 방식을 현행 주 단위에서 월 단위로 바꾸는 내용의 '주 52시간제 개편안'을 내놨지만, 윤 대통령이 다음 날인 24일 출근길 약식 기자회견에서 "아직 정부 공식 입장이 아니다"라고 발언해 정부의 정책에 혼선이 벌어진 일이 있었는데요. 대통령실에서는 일부 표현의 오해에서 비롯된 해프닝이란 식으로 상황을 수습했지만, 윤 대통령이 해당 부처 장관의 발표까지 정부 입장이 아니라고 부인하며 스스로 불필요한 논란을 자초했습니다.
 
또 윤 대통령은 지난해 7월29일 교육부 업무보고에서 당시 박순애 교육부 장관에게 "(초등학교) 취학 연령을 1년 앞당기는 방안을 신속히 강구하라"고 지시했는데요. 사실상 윤 대통령이 직접 초등 입학 연령을 만 6살에서 만 5살로 낮추는 방안을 지시한 겁니다. 이후 정부의 학제 개편 방안에 대한 사회적 혼란이 커지고 학부모 등의 반발이 커지자, 박순해 장관은 모든 책임을 지고 사퇴했는데요. 결국 박 장관이 모든 잘못을 뒤집어 쓴 채 사퇴하는 모양새가 됐습니다.
 
지난해 11월18일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
  • 박주용

꾸미지 않은 뉴스를 보여드리겠습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