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이 구속영장 심사에 불출석 의사를 밝힌 지난 2018년 3월 20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이 전 대통령 사저에서 이동관(앞) 전 홍보수석비서관과 김효재(뒤 왼쪽)전 대통령실 정무수석비서관 등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차량을 타고 빠져 나오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최수빈 기자] 아들 학교 폭력 의혹에 대해 공식 대응을 하지 않던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이 적극 해명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이 특보의 입장문에 대해 장인홍 전 서울시의원은 9일 “사실관계에 맞지 않는, 침소봉대 입장문”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여기에 김승유 전 하나고 이사장이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가 열리지 않도록 압력을 가했다는 의혹까지 제기했습니다.
"하나고 이사장 김승유, MB 청계재단 이사로"
당시 시의회 특위에서 활동했던 장 전 의원은 이날 본지와 한 인터뷰에서 “하나고 학폭위 위원장은 교감이었다. 학교의 위계질서를 살펴보면 사립학교 내에 교감이 있고, 그 위에 교장과 학교 재단 이사장이 있다”라며 “추측건대 이사장이나 교장의 판단이 교감에게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그런 차원에서 학폭위가 열리지 않았다고 본다”라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당시 하나고 이사장이 김승유 전 하나금융지주 회장이었다. 김 전 이사장과 이명박 전 대통령은 고려대 경영학과 동기이며 친분이 두텁다고 알려졌다”라며 “이 특보는 이 정부 청와대 대변인과 홍보수석을 지냈고, 이런 상황 속 모종의 압력이 있었다고 강하게 의심할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2012년 3월까지 하나금융지주 회장을 지낸 김 전 이사장은 이 전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 꼽힙니다. 김 전 이사장은 이 전 대통령이 재산 환원 공약을 위해 임기 중 설립한 청계재단의 이사를 맡았습니다.
“아들의 전학, 중징계가 아닌 특혜…피해자 1명 아니다”
이 특보는 전날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전학은 9단계 징계 중 8단계로 가장 무거운 ‘퇴학’ 처분보다 한 단계 낮은 중징계에 해당한다”라며 학폭 가해자로 지목된 아들이 처벌 조치 없이 전학을 가며 사태를 봉합했다는 의혹에 반박했습니다.
이에 장 전 의원은 “선후관계가 틀린 이야기다. 이 특보의 아들은 학폭위를 열어서 전학을 간 것이 아니기에 기록부에 남는 것이 없다”라며 “만약 학폭위 결과에 따라 전학 조치됐으면 수시전형으로 입시가 어려웠을 것이다. 특혜로 볼 수 있다”로 꼬집었습니다.
이어 “이 특보의 입장문은 사실관계에 맞지 않은 것이 있고, 중징계에 해당하는 전학을 갔다는 등 자신에게 유리한 주장”이라며 “침소봉대라고 생각한다”고 직격했습니다.
지난 2015년 서울시 교육청의 하나고 특감에서 드러난 피해 추정 학생은 모두 3명입니다. 그러나 이 특보는 입장문에서 학폭 자체 해결 당시 3명의 학생과 모두 화해를 했는지 밝히지 않았습니다. 장 전 의원은 “사실관계를 잘 모르고 한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피해자가 여러 명인 사안을 한 명이라고 의도적으로 축소했을 수 있다”라며 “교육청 홈페이지에 공개된 감사 결과를 보면 피해자가 여러 명인 것은 확실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최수빈 기자 choi32015@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