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위축에 엠디엠, 계열사 자금 투입 '확대'
ONE25PFV 등 계열사 간 자금거래…채무보증도 늘어
문주현 회장, 종합 디벨로퍼 추진…미분양·유동성 우려 '내재'
입력 : 2022-12-01 06:00:00 수정 : 2022-12-01 17:03:40
MDM 금융계열사인 한국자산신탁 사옥과 문주현 엠디엠 회장.(사진=엠디엠)
 
[뉴스토마토 백아란 기자] 국내 대형 디벨로퍼 엠디엠(MDM)그룹이 올들어 계열사 간 거래에 힘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인상과 집값 약세 전환에 미분양이 늘어나는 등 부동산 시장 업황이 악화된데 따른 대응으로 풀이된다.
 
시행사의 경우 부동산 개발 사업에 앞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해야 하지만, 주택 매매 시장이 사상 초유의 거래 절벽을 맞은 데다 조달 환경도 위축되며 유동성 확보가 쉽지 않은 까닭이다.
 
30일 금융감독원과 공정거래위원회 등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대규모기업집단현황공시 기준 엠디엠의 국내 계열사 간 거래금액은 182억15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동기(184억6100만원)에 비해 1.3% 감소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국내 계열사와 기타 자금거래를 더한 총 금액은 2183억원에서 7972억8700만원으로 늘었다.
 
여기에는 핵심계열사인 엠디엠플러스를 비롯해 ‘아크로 여의도 더원’ 개발 주체인 원트웬티파이브피에프브이(ONE25PFV) 등 프로젝트금융계열사(PFV)와 부동산을 유동화해 발생하는 거래에 대해 차입금으로 회계 처리하는 더엠리테일, 금융계열사인 한국자산캐피탈 등의 거래가 포함됐다. 공동주택용지 확보 등 부동산 개발 사업 추진 과정에서 각 계열사에 운영자금을 융통한 것이다.
 
부분별로 계열사와 특수관계인간 거래를 보면 유상증자나 기업어음(CP) 등 계열사간 유가증권거래액(매도)은 704억2300만원에서 601억1100만원으로 줄었지만 지난해 공시되지 않았던 친족과 임원 등 특수관계인에 대한 자금대여 금액은 3억4000만원으로 집계됐으며, 상가 유동화 대출과 PFV 대출약정 등을 위한 계열사 간 담보제공은 8328억원(채권최고액)에서 1조3258억7700만원으로 증가했다.
 
(표=뉴스토마토)
통상 시행사는 개발 사업에 나서기 전에 브리지론을 활용해 토지를 매입하고, 사업권을 담보로 인허가·착공·분양·준공 등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본PF 대출 등을 일으키는 형식으로 자금을 조달해왔다. 그러나 원자재 가격 상승과 분양 시장 냉각 등으로 개발사업 여건이 급속히 악화하면서 부동산 PF 대출 부실화에 대한 우려가 커진 까닭에 엠디엠도 계열사 간 자금 거래를 확대하는 쪽으로 방향을 튼 것으로 분석된다.
 
개발이나 분양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지급불능 사태에 빠지는 등 익스포저(위험노출·exposure)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5월 엠디엠이 분양한 경기도 파주 운정 푸르지오 파크라인은 미분양이 나오며 분양가 대비 2억원을 낮춰 할인분양을 하고 있으며 지난 8월 하이엔드를 내걸고 나온 경기도 의왕시 ‘백운호수 푸르지오 숲속의 아침’ 또한 여전히 판매 중인 상태다. 
엠디엠 그룹이 추진 및 예정 사업(사진=MDM)
 
이밖에 옛 유수홀딩스 자리에 분양가 3.3㎡당 1억원을 들고 나온 ‘아크로 여의도 더원’의 경우 지난달 31일 진행한 청약에서 평균 1.2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지만, 104가구를 모집했던 119㎡는 7가구가 미달됐다.
 
엠디엠 그룹의 올해 자산은 6조7950억원(공정자산총액 기준)으로 1년 전보다 1조5000억원 이상 불어나고 재계 순위도 57위로 12계단 상승했지만 부동산 기획부터 분양, 운영관리에 이르는 부동산개발사업의 전반을 추진하는 만큼 재무건전성도 빼놓을 수 없는 실정이다. 자산총액이 급증한 것은 그동안 부동산 시장의 호황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부동산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 계열사 간 빚보증이 증가했다는 점도 우려를 낳는다. 올해 3분기 기준 엠디엠의 공정거래법상 제한되는 채무보증 이외 채무보증금액은 1326억6800만원으로 전년동기(229억4900만원)에 비해 478% 급증한 상태다.
 
백재승 삼성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시황 악화의 근간에는 금리 인상이 있다”라며 “수요 측면에서는 주택 구매를 위한 대출이, 공급 측면에서는 토지 및 건물 시공을 위한 비용 충당에 있어 필요한 시행사들의 자금 조달이 각각 고금리 영향으로 부담이 커진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주택 사업 안정화는 고금리 현상 해소 전제가 필요하다”라며 “주택 사업 모멘텀 회복에는 시간 필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백아란 기자 alive0203@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백아란

볼만한 기자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