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북 지역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김성은 기자] 서울시가 지난 22일 열린 '3차 모아타운 대상지 선정위원회'를 통해 도봉구 방학동과 쌍문1동, 관악구 은천동 2곳, 동작구 상도동 등 5곳을 '모아타운' 대상지로 선정했습니다.
해당 지역 내 지분 쪼개기 등 투기 수요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오는 27일을 권리산정기준일로 지정·고시할 계획입니다.
모아주택·모아타운은 재개발이 어려운 지역의 소규모정비사업을 계획적으로 활성화해 양질의 주택공급을 확대하기 위한 정비방식입니다.
특정 기간에만 신청받았던 모아타운 공모를 올해부터 수시 신청으로 전환함에 따라 서울 시내 모아타운 대상지는 총 75곳으로 늘었습니다.
이번에 선정된 5곳은 노후 다세대·다가구 주택 밀집지역으로 고질적인 주차난, 열악한 기반시설 뿐만 아니라 반지하 주택이 많아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게 서울시 설명입니다.
도봉구 방학동 618 일원은 전체 노후도가 약 70%에 달하고 전형적인 노후 저층주거지로 상습적인 주차난에 따른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쌍문1동 460 일원도 높은 가구밀도와 반지하비율, 상습적인 주차난과 50m 차이가 나는 고저차로 그동안 개발이 제한됐습니다.
(자료=서울시)
공모에 함께 신청했던 도봉구 도봉동 584-2 일원은 미선정됐습니다. 서울시 관계자는 "북한산 고도지구, 무수골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주거환경개선사업구역 일부가 모아타운 대상지 신청지역에 포함돼 있다"며 "다른 지역의 밀도, 높이계획 등에서 부조화를 발생시킬 수 있고, 전반적인 관리체계 측면에서도 불균형을 초래할 우려가 있어 해당 자치구의 구역계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모아타운 대상지로 선정되면 추후 각 자치구가 '모아타운 관리계획'을 수립합니다. 주민공람, 위원회 심의를 거쳐 모아타운으로서 법률적 효력을 갖는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으로 승인·고시하면 모아주택 사업이 본격화됩니다.
서울시는 모아타운 대상지 선정을 둘러싼 주민갈등과 투기 우려가 있는 지역은 대상지 선정에서 제외한다는 원칙입니다. 또한 대상지로 선정된 지역이라도 주민 갈등이 있으면 관리계획 수립을 통해 다수 주민이 원하는 지역만 추진할 수 있도록 진행할 방침입니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주민들이 뜻을 모으고 재개발을 희망하는 지역은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김성은 기자 kse5865@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