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박창욱

경기북부특별자치도와 평화누리특별자치도

2024-06-18 14:30

조회수 : 22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박창욱 기자] 경기북부자치도 설치에 대한 도민들의 관심과 호응 유도를 위해 시작한 '새 이름 짓기'가 역풍을 맞은 모양새입니다. 대상으로 선정된 새 이름 '평화누리특별자치도'에 이념이 녹아있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경기도는 지난 1~2월 경기북부자치도의 새 이름을 공모했는데요. 도 규모 광역자치단체의 작명 방식을 사용해 경기북부를 줄이면 경북, 즉 경상북도와 부르는 호칭이 같아져 혼선이 생길 수 있어섭니다. 공모 결과 '평화누리'가 대상을 차지했는데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새 이름 대국민 공모 최종결과. (사진=경기도청 제공)
 
하지만 평화누리라는 이름에 대한 도민들의 반발심은 상상 이상으로 컸습니다. 지난달 2일 경기도민청원 홈페이지에 게시된 ‘평화누리자치도(경기북도 분도)를 반대합니다’라는 청원 글에 무려 4만7804명에 달하는 도민이 이에 동의했습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라이브 방송을 통해 "명칭은 국회에서 특별법을 제정할 때 이름을 확정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한 발 물러났는데요.
 
그렇게 선정된 평화누리특별자치도는 결국 '종북팔이' '우스꽝스럽다'며 비난을 받게 됐습니다. 문제는 그 이후입니다. 북부자치도 설치 계획 자체에 부정적 여론이 형성된 겁니다. 기존 분도 반대파와 더불어 새 이름 발표로 북부특자도 추진 소식을 처음 접했다는 도민이 대거 등장하면서 비난 여론이 거세지기 시작했습니다. 더 나아가 일부 도민들은 경기북부의 재정건전성 등을 이유로 북부특자도 설치 계획에 근본적인 의문을 던지기 시작했습니다.
 
김춘수 시인의 '꽃'이라는 작품에서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는 구절이 있습니다. 그만큼 이름은 대상의 정체성과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에 중요한데요. 이번 공모전으로 북부특자도 설치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려 했지만 '이름'의 중요성을 간과하면서 김 지사의 실책이 되고 말았습니다.
 
경기북부 분도는 1980년 후반부터 논의되기 시작해 40여년간 이어졌습니다. 여러 이유로 번번이 무산됐습니다만, 이름이라는 암초에 걸려 넘어진 적은 없습니다. 분위기를 바꿀 김 지사의 '한 수'가 필요할 때입니다.
 
박창욱 기자 pbtkd@etomato.com
  • 박창욱

  • 뉴스카페
  • email
박창욱 기자의 뉴스카페 더보기
관련 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