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김용훈

(공매도, 필요악인가)③개미많은 韓증시, 공매도 세력 '먹이'?

2012-05-30 09:00

조회수 : 5,733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김용훈기자] 전체 주식시장에서 개인투자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기관투자자보다 높은 국내 증시 특성 상 외국계 헤지펀드의 공매도로 인한 개인들의 피해는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상대적으로 정보에 취약한 개인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금융당국은 외국과 마찬가지로 대량공매도 포지션 보고제도 도입을 마련하고 있지만 내부에서조차 그 효과를 장담하진 못하고 있다.
 
지난 24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2011년 말 현재 시가총액 기준 투자자별 주식분포를 보면, 전체 증시에서 차지하는 투자자별 비중은 역시 외국인이 30.6%로 가장 높다. 이어 일반법인 29.6%, 개인 24.4%, 기관 13.0% 순이다.
 
유가증권시장도 마찬가지 외국인 비중이 32.9%를 차지하고 있다. 일반법인(30.2%)을 제외하면 개인은 20.7%를 차지한다. 13.6%를 보유한 기관보다 7%포인트 이상 높다.
 
하지만 코스닥시장에선 개인이 단연 압도적이다.
 
61.3%를 보유하고 있어 7.9%를 보유한 외국인이나 6.5%를 차지하고 있는 기관에 비해 10배 가까이 많다. 일반법인도 24.2%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비해 미국, 호주 등 간접투자가 직접투자보다 더 활성화 된 선진시장의 경우 기관투자자가 각국의 전체 증시에서 차지하는 시총은 70%를 웃돈다.
 
외국에서도 합법적 테두리 내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공매도가 유독 국내 자본시장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높은 이처럼 개인투자자 비중 탓으로도 풀이된다.
 
비교할 수 없는 자금력과 정보력을 가진 외국계 사모펀드 입장에선 공매도에 속수무책으로 당해줄 개인투자자들이 많다는 것은 더할 나위 없이 매력적이라는 뜻이다.
 
◇외국서도 하는 공매도 뭐가 문제냐고?
 
물론 외국에서도 공매도가 문제가 된 사례는 많이 있다. 차이가 있다면 셀트리온처럼 개인투자자가 직접적인 손해를 입는 경우는 드물다는 점이다.
 
지난 2008년 독일에선 발생한 폭스바겐 공매도 사건만 봐도 그렇다. 이 사건은 폭스바겐 최대주주 포르쉐와 헤지펀드 간 대결 양상으로 진행됐다.
 
당시 자동차업종 불황으로 폭스바겐 실적이 악화되자 헤지펀드들은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지분 12%를 공매도했다.
 
이에 지분 35%를 보유 중이던 최대주주포르쉐는 매물로 나온 주식을 추가로 매입해 42.6%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31.5%의 콜옵션을 보유하고 있어 지분을 최대 74.1%까지 확대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최대주주 측 발표에 헤지펀드들은 비상이 걸렸다. 나머지 유통주식 중 20%는 기관투자자인 니더작센 주 정부가 보유하고 있어 확보 가능 물량이 6%도 채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헤지펀드들은 앞다퉈 폭스바겐 주식을 매수했고 주가는 이틀 만에 450% 폭등했다. 최대주주 포르쉐는 주가 안정을 명목으로 5%를 팔았고 주가는 다시 49% 폭락했다.
 
즉, 헤지펀드들은 포르쉐에게 주식을 빌려 포르쉐에게 팔았고, 이후 포르쉐에게서 주식을 다시 산 다음에 포르쉐에게 갚은 셈이다.
 
폭스바겐 공매도에 나선 헤지펀드들은 파산 지경에 이르는 피해를 입었지만 다수의 개인투자자들게는 별다른 피해가 돌아가지 않았다.
  
◇"프라임브로커 활성화되면 자정기능 생길 것"
 
일부에선 현재 국내 금융투자업계에 태동하고 있는 프라임브로커 영업이 활성화되면 공매도에 대한 시장의 자정기능이 마련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현재 국내 주식시장에서 공매도 거래를 하기 위해선 한국예탁결제원·금융투자회사·한국증권금융 등 3곳의 중개기관을 통해 주식을 차입해야 한다.
 
 
 
이진일 한국예탁결제원 팀장은 "국내에서 이뤄지는 대차거래의 약 70%는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해 이뤄진다"며 "나머지 25%는 증권사, 5%는 한국증권금융 등을 통해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향후 금융투자회사의 프라임브로커 영업이 활성화되면 현재의 대차거래는 점차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이들 프라임브로커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다.
 
천창민 자본시장연구원 박사는 "해외에서 이뤄지는 대차거래는 대부분 프라임브로커를 통한다"며 "향후 국내 프라임브로커가 활성화된다면 공매도 과열 시 제동을 걸 수 있는 장치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기대했다.
 
  • 김용훈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