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정해훈

편의점 갈등 '극과극'..사태 종결부터 기자회견 방해까지

시민단체·가맹점주協, 세븐일레븐 본사 공정위 신고 예정

2013-10-21 14:03

조회수 : 4,195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정해훈기자] 편의점업계의 불공정행위가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 대표적 '갑을 논쟁'으로 대두되고 있지만 사태에 대처하는 움직임은 업체별로 천지차이를 보이고 있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일 민주당 을지로위원회는 롯데그룹 본사를 방문해 계열사 사장단과의 협의를 거쳐 '상생협력기구'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김현미 의원과 노병용 롯데마트 사장을 공동책임자로 선정하고, 롯데그룹 계약서 검토와 협력업체 파견직원의 노동문제를 우선 해결할 방침이다.
 
하지만 기자회견에 앞서 롯데그룹 직원이 세븐일레븐 피해 가맹점주의 참석을 방해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고 알려지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민생연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하기 위해 택시를 타려던 이모 점주를 세븐일레븐 직원 3명이 강제로 가로막았다"고 주장했다.
 
20여분 동안 이어진 실랑이 끝에 결국 112신고를 받은 경찰이 출동하면서 해당 점주가 기자회견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참여연대, 경제민주화국민본부 등 시민단체는 세븐일레븐이 무리한 사업확장 정책을 펼치면서 매출이 저조한 점주에게 추가 출점을 권유하는 이른바 '편의점 돌려막기'로 피해를 주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무리한 출점을 해도 영업 실패의 책임은 점주가 전부 부담하고 본사는 손해가 발생할 확률이 거의 없는 점을 이용한 매우 부도덕한 경영행태"라며 "점주의 권익보호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망각한 대표적인 '기업이기주의' 사례"라고 비판했다.
 
시민단체와 세븐일레븐바이더웨이가맹점주협의회는 편의점 돌려막기를 비롯해 일감 몰아주기, 계약서 일방 수정 등에 관해 공정거래위원회 신고할 예정이다.
 
이 관계자는 "상생협력기구에서는 일감 몰아주기 등 구체적 피해를 입증할 수 없는 사안을 논의하기 힘들 것"이라며 "이러한 내용을 별도로 공정위에 신고하고, 필요하면 사법당국 고발도 병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여론의 기류에 맞춰 상생을 약속한 경우도 있다.
 
앞서 지난 15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의 상생 방안과 일감 몰아주기에 대한 지적이 쏟아졌다.
 
민주당 김영주 의원은 이날 BGF리테일이 가맹점에 계열사인 BGF캐시넷의 ATM 기기를 일방적으로 설치하도록 해 가맹사업법을 위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BGF리테일 관계자는 "ATM은 수익이 많이 발생하지 않은 사업으로 일감 몰아주기로 보기 어렵지만, 내부적으로 향후 방향에 관해 검토 중"이라며 "가맹점주와의 상생 계획은 점주들과의 대화를 거쳐 올해 안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니스톱은 지난 11일 미니스톱가맹점주협의회,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등 관계자와 상생 협약식을 열고, 그동안 문제가 된 불공정거래 관행을 개선하기로 합의했다.
 
미니스톱은 가맹계약 해지에 따른 가맹점의 손해배상 위약금 완화, 매출액 송금의무 위반 위약금 경감 등 17개 조항에 관한 가맹계약서를 수정해 공정위 약관 심사를 받고 있다.
 
특히, 가맹점주와의 상생 협력을 위해 애로사항 경청과 해결에 도움을 줄 '경영주 자문위원회'를 설치했으며, 지난 8일 첫 간담회를 진행했다.
 
미니스톱가맹점주협의회 관계자는 "점주들의 요구안이 완벽하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지만, 본사의 답변은 희망적일 것으로 본다"며 "오늘부터 실무적인 논의를 시작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사진=뉴스토마토DB)
 
 
  • 정해훈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