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한승수

아파트 매매는 대구, 전세는 경기도 '활활'

3년째 아파트값 상승 '최고'...서울 전세난에 경기도 직격탄

2015-06-18 15:57

조회수 : 3,496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상반기 대구광역시 아파트 매매값이 연이어 상승하며 3년째 전국 최고 상승률 자리를 유지했다. 서울 전세난의 유탄을 맞은 경기도는 전셋값 급등에 시달렸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대구 아파트값 상승률은 5.73%로, 전국 17개 시·도 중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 3.67%보다 높은 상승률로, 2013년부터 차지한 상승률 1위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다. 대구 내에서는 수성구가 8.80% 올랐으며, 대구 동구가 6.91%로 뒤를 이었다.
 
2013년 초 대구 평균 아파트값은 1억7295만원으로 6대 광역시 중 가장 낮은 수준이었으나 2015년 5월 말 기준 2억4364만원으로 상승, 지방 부동산의 중심지 부산(2억2641만원)을 제치고 가장 비싼 평균가를 기록하게 됐다.
 
대구에 이어 광주광역시가 3.82%로 높은 오름세를 보였으며, 인천 3.13%, 경기 2.43%, 부산 2.11%, 서울 2.09% 순으로 상승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를 못 펴던 수도권 아파트시장의 약진이 눈에 띈다. 세종시와 전남은 각각 0.41%, 0.30% 떨어졌다.
 
◇지난달 분양한 동대구 반도유보라에는 올 상반기 전국에서 가장 많은 10만여명이 1순위에 신청, 대구 아파트 시장의 현황을 확인시켰다. 사진/뉴시스
 
상반기 전세난이 가장 뜨거운 시·도는 서울이었다. 고가의 전셋값에도 불구, 만성적인 물량 부족에 상승률이 높았다. 서울 평균 아파트 전셋값은 3억4111만원으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아파트 매맷값이 비싼 경기도(2억8437만원)보다 비싸다.
 
시·군·구별로는 경기도 하남시가 7.89%로 최고 상승률을 나타냈다. 서울 강남권에서 밀려난 전세수요와 신혼부부가 주로 찾는 하남은 올들어 인근 강동구의 재건축 이주로 전셋값이 급등했다. 경기 광주시(6.22%), 구리시(5.75%), 고양 덕양구(5.72%), 안산 상록구(6.14%) 등 서울 전세난의 영향을 받은 경기권 자치시의 상승률이 두드러졌다. 경기도의 평균 아파트 전셋값은 2억492만원으로 조사 이래 처음으로 2억원을 돌파했다. 
 
한승수 기자 hanss@etomato.com
  • 한승수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