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최한영

은행권, '고객 중심·공공성 강화' 평가체계 마련 골몰

2020-02-13 12:16

조회수 : 1,657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최한영 기자] 최근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등을 거치며 금융권에서 소비자 보호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시중은행들이 평가제도 개편을 통한 분위기 일신에 나서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 노사는 지난달 말 윤종원 행장 출근저지 투쟁 종료 과정에서 금융공공성 강화를 위한 비이자이익 감축 등의 방향으로 경영평가 항목 개선을 강구한다는데 공감대를 이뤘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몇몇 상품들의 경우 불완전판매로 문제가 되고 있는데 영업점에 무리한 목표를 주면 문제가 될 수 있지 않느냐”며 “무리한 영업보다 중소기업 지원 등을 강화토록 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정책금융기관으로서의 공공성에 집중하는 효과도 누리겠다는 것이다. 다만 모든 비이자이익을 줄이는 것이 아닌,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관련상품 수수료 대신 투자은행(IB) 사업 등 다른 활로를 찾아가겠다는 설명도 내놨다.
 
다른 은행들도 분위기는 비슷하다. 신한은행의 경우 진옥동 행장이 신년사에서 밝힌 ‘같이성장 평가제도’에 기반해 평가체계 전반을 재설계했다. 신한은행에 따르면 평가지표는 △고객성장과 은행성장 밸런스 추구 △핵심지표 관리를 통한 현장 자율성 부여 △‘고객퍼스트’ 관점의 영업문화 변화에 중점을 뒀다. 이를 통해 고객 자산을 불려주는 것뿐만 아니라 고객에게 적합한 상품을 완전하게 판매하는 영업문화를 정착하고, 신규유치 외에도 기존고객 관리 강화에도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도 올해 신년사에서 “더이상 ‘손님의 기쁨’이 아닌 ‘모두의 기쁨’을 위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그룹 사업모델과 프로세스를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다만 회사 수뇌부 차원의 방침이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질지는 두고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 시중은행 직원은 “영업점에 대한 평가는 객관적으로 나타나는 기준을 세워줘야 서로가 편하다. 모호한 정성적인 평가가 많이 들어가면 오히려 힘든 부분이 있다”며 “올해 은행의 핵심성과지표(KPI)는 이미 지난해 말 확정됐기에 그게 당장 반영되리라고 보지 않는다”고 전했다.
 
신한은행 고덕동지점 내부 모습. 사진/신한은행
 
최한영 기자 visionchy@etomato.com
  • 최한영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