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김지영

"임금피크제로 청년일자리 13만개? 16배 뻥튀기"

5인 이상 모든 기업 도입, 모든 노동자 정년보장 전제

2015-09-11 16:53

조회수 : 3,684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고용노동부가 임금피크제 도입으로 창출 가능한 청년일자리를 16배 이상 부풀렸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은수미·장하나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고용부 국정감사에서 “고용부가 임금피크제 도입으로 청년일자리를 13만개 만들 수 있다고 대대적인 홍보를 해왔으나, 실제로 4년간 신규 창출 일자리 수는 8000개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은 의원에 따르면 고용부는 지난 5월 노동시장정책과 내부 간담회에서 발표된 연세대 이지만 교수의 논문을 근거로 2016년부터 4년간 최소 8만7000명에서 최대 13만2000명의 청년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의 논문은 성균관대 전용일 교수의 2013년 보고서에 따라 정년연장 수혜자 수를 최대치로, 임금 감액분을 20%로 각각 설정했을 경우를 가정했다.
 
하지만 은 의원은 이 교수의 논문과 전 교수의 보고서를 비교 검토한 결과, 이 교수의 논문이 전 교수의 보고서 내용을 심각하게 왜곡했다고 지적했다.
 
우선 전 교수은 다섯 가지 모형에 따라 정년제의 수혜자 수가 추산됐는데, 첫 번째 모형은 ▲5인 이상 모든 사업체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했을 경우 ▲질병·사망 등에 따른 퇴사 없이 55~59세 모든 노동자가 정년까지 직장에 남아있을 경우를 전제로 한다. 이 모형에 대해 전 교수는 “현실에서 존재하기가 불가능하다”고 명시했다. 2012년 고용보험통계연보에 따른 정년퇴직자는 전체 노동자의 5.0%(1만8146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전 교수는 “현재의 노동시장 내 환경이 변화하지 않으면 60세 정년의무화제도의 효과는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 교수는 전 교수 보고서의 첫 번째 모형을 전제로 논문을 냈다. 특히 이 교수는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인건비 감액분도 첫 번째 모형에 따라 누적액으로 추계했는데, 이 추계를 그대로 적용하면 신규 창출되는 모든 일자리는 1년 기간제가 돼버린다. 임금피크제 적용 노동자가 퇴직하면 절감액이 사라지고, 임금인상 등으로 신규채용 인력의 인건비가 해마다 증가하는 점이 이 모형에서는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은 의원은 “2019년까지 청년일자리 신규 창출 수는 최소 6697명에서 최대 8186명이다. 결국 임금피크제가 사실상 청년일자리 창출과 전혀 연관이 없다는 것”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용노동부는 비현실적인 가정과 누적액임을 간과한 이 교수의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여서 대국민 사기극을 벌인 것이다. 여기에 국민혈세 20억여원이 투입됐다”고 비판했다.
 
은 의원은 이어 “정부가 임금피크제를 강제 도입하기 위해서 무리하게 청년일자리 해소와 연계하면서 벌어진 웃지 못 할 촌극”이라며 “하지만 거짓광고에 국민혈세 20억여원이 들어간 만큼, 반드시 진위 여부와 잘잘못을 따져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영 기자 jiyeong8506@etomato.com
 
11일 정부세종청사 고용노동부에서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고용노동부 국정감사에서 이기권 장관이 소견을 밝히고 있다. 사진/뉴시스
  • 김지영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