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이범종

smile@etomato.com

안녕하세요, 이범종입니다.
한국항공우주, 정부와 국산헬기 운용 확대 협력

국산헬기 운용 확대 민·관·군 머리 맞대

2022-03-16 18:02

조회수 : 3,193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이범종 기자] 국산헬기 보급확대와 운용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민관군이 힘을 모으기로 했다.
 
한국항공우주(047810)산업(KAI)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국산 헬기 활용 확대를 위한 협의체'회의가 16일 사천 본사에서 열렸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 2월 방위산업발전협의회 의결 안건인 '국산 헬기 활용 확대 방안' 후속조치다.
 
16일 문승욱 산업부 장관(사진 오른쪽) KAI 사천 본사에서 문석주 KAI 회전익사업부문장과 국산헬기 수리온 탑승 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항공우주)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헬기 최종조립 현장 시찰과 국산헬기 수리온 탑승 체험으로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안현호 KAI 사장은 "국가기관이 운영하는 헬기의 절반 이상을 국산 헬기로 납품하는 것이 목표"라며 국산헬기 운영확대 방안에 대해 적극적인 지원을 건의했다.
 
이날 KAI에 따르면 국내 공공헬기 총 117대 중 국산헬기 13대가 운용 중이다. 
 
문 장관은 "군납 뿐만 아니라 최근 산불사례와 같이 산림을 비롯한소방, 경찰, 해경 등의 공공헬기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국산헬기 규모의 경제 달성을 통해 수출산업화를 지원하겠다"고 화답했다.
 
산업부 주최로 열린 이날 회의에는 국방부, 방사청과 경찰청, 해경청, 소방청, 항공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현재 기관별로 나뉜 헬기 구매방식을 일괄구매로 개선해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구매력을 바탕으로 국가 헬기 구매예산 절감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전 부처가 참여하는 운영기관 기술협의체 운영도 과제로 거론됐다. 운영기관 기술협의체가 운영되면 국산헬기의 수리 부속, 예비품은 물론 기관 간 업무 협의와 기술정보 공유를 통해 운항제한 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다.
 
KAI 관계자는 "국내 공공헬기의 절반 이상은 21년 이상된 해외도입 헬기여서 가동률이 갈수록 떨어지며 대형 산불과 같은 긴급 상황에도 보유 헬기의  일부만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KAI는 수리온 헬기가 정비·유지비용이 낮고 국내에서 야간 산불진화 비행이 가능한 유일한 기종이어서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데도 국산 헬기 활용이 늘어나야 한다는 입장이다.
 
산업부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헬기 동력전달계통 국산화 개발사업으로 국산헬기의 성능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KAI는 동력전달계통의 국산화 완료 시 항공소재와 정밀가공, 열처리 등 기술파급효과는 물론 4조1000억원대 해외수입 대체와 일자리 창출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한다.
 
KAI는 "헬기 동력전달계통 국산화를 통해 국산헬기 성능개량은 물론 대형급 공공헬기까지 국산헬기 점유율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범종 기자 smile@etomato.com
  • 이범종

안녕하세요, 이범종입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