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김충범

acechung@etomato.com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편의점, 재테크 창구로 발돋움

2024-05-31 11:12

조회수 : 52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소비자 접근성이 가장 높은 유통 채널인 편의점이 최근 재테크 창구로 발돋움해 눈길을 끕니다.
 
요즘 MZ(밀레니얼+Z)세대에게 있어 재테크는 최대 관심사 중 하나입니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고금리에 따른 경기 불황이 지속되는 데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할 수 있는데요.
 
얼마 전 편의점 업계에서는 놀라운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마트24가 이달 초 가상자산 거래소인 빗썸과 함께 '비트코인 도시락'을 판매한 것입니다.
 
비트코인 도시락에는 최대 3만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받을 수 있는 쿠폰이 포함됐는데요. 소비자는 동봉된 쿠폰 QR 코드를 통해 빗썸 애플리케이션(앱)에 들어가 쿠폰 번호를 입력하고 고객 확인 완료 및 문자메시지(SMS) 수신 동의를 하면 비트코인을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업체 측이 비트코인 도시락의 흥행을 예견한 것인지는 몰라도 등록은 1인 1회만 가능토록 설정됐는데요. 그 때문일까요? 비트코인 도시락은 출시 열흘 만에 조기 완판됐습니다. 그만큼 비트코인에 대한 젊은 수요층의 관심이 지대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뿐만 아닙니다. 편의점 업계는 '금테크족'을 위한 골드바 판매에도 적극 나서는 상황입니다.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물가 압박이 커지면서, 금이 안전자산으로의 가치가 높아지는 데 따른 조치인데요.
 
최근 CU는 한국조폐공사와 함께 카드형 골드바 10종을 선보인 바 있습니다. 특히 1g 골드 상품은 판매 시작 이틀 만에, 1.87g 상품은 보름 만에 판매가 완료되기도 했는데요. 최근 금값 시세가 더 오른 점도 판매 호조에 한몫했다는 분석입니다.
 
또 GS25에서는 현재 전국 30개 점포에서 순금 자판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순금 자판기에서는 0.5g, 1g, 1돈, 3돈, 10돈짜리 골드바 등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편의점이 재테크 창구로 떠오른 것은 그만큼 뛰어난 고객 접근성을 갖추고 젊은 수요층의 선호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비트코인, 골드바 등 실험적인 콘텐츠를 도입하기에 적격인 채널이라는 이야기죠.
 
앞으로 편의점에는 또 어떠한 재테크 상품들이 선을 보일까요? 편의점 본연의 역할을 넘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살펴보는 것도 향후 소소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 김충범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