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유지웅

www.facebook.com@etomato.com

쪽팔리게 쓰지 않겠습니다.
민주당은 좋겠다

2024-06-17 10:12

조회수 : 227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유지웅 기자] 민주당은 국민의힘과 닮았습니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재명 대표를 기치로 똘똘 뭉치자"고 말했고,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대통령을 위해)똘똘 뭉치자"고 외쳤습니다. 투표권을 갖게 된 이래, 지역구·지방·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를 뽑지 않은 적 없습니다. 허망한 순간입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수박을 먹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정권하에서 민주당은 줄곧 '반사 이익'을 누렸습니다. 가만히 있어도 정부여당이 자살골을 넣어줬으니까요. 오롯이 상대 잘못에 기댄 '심판론'은 압승으로 귀결됐습니다. 
 
민주당은 '정치검찰'과 '정치재판'에 의해 탄압받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입니다. 이 대표가 무고한지에 대해선 확신이 없지만, 검찰보단 민주당 주장에 신뢰가 가는 건 사실입니다. 
 
그러나 묻고 싶습니다. '위임받은 권력'을 개인의 사법리스크 방어에 써도 되는 건가요? 법은 모든 국민 앞에 평등해야 하고, 이 대표를 포함해 그 누구도 불합리한 재판으로 피해를 봐선 안 됩니다.
 
그런데 일반 시민이 '정치검찰'의 탄압을 받는다면, 그 역시 '특별검사법'으로 방어할 수 있는지요. 171석을 가진 제1야당 '이재명 대표'여서 가능한 일입니다. 그리고 시민은 '방탄'하라고 배지를 달아준 적 없습니다.
 
이 대표 없이는 검찰개혁, 민생입법, 정권심판, 진상규명을 해내기 어렵다는 점도 압니다. 그런데 이 대표 '없이도' 할 수 있어야 제대로 된 조직 아닌가요? 민주당이 이 대표의 '호위무사'를 자처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일극'이 무너지면 쓰러지는 체제이기 때문입니다.
 
혹자는 말합니다. '사당화' 논란은 언제나 존재했었다고. 그 시절을 살아보지 않아 잘 모르겠습니다만, 시대가 바뀌지 않았던가요? 모든 대표가 그랬다면, 이 대표의 행보도 합리화할 수 있는 건가요?
 
이 대표는 2번씩이나 당헌 개정안에 반대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최고위원들이 너무 '강성'이라 어쩔 수 없었다고 해요. 결국 지방선거 공천권 행사 후, 대선으로 직행하는 수순입니다.
 
"불완전한 당헌을 보완하기 위해서"라는 변명이 제게는 '국민을 우롱'하고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말로 들립니다. "연임하지 않겠다"는 선언 하나면 됐습니다. "지방선거를 '상당하고 특별한 사유'로 두지 않겠다"라든지요. 
 
어쩌면 이 대표는 '다당제'라는 큰 그림을 그리고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가 꿈꾸는 대중정당엔 '대중'이 없고 '강성 당원'만 있으니, 시민은 어떻게든 대체제를 찾을 겁니다. '심판론'으로 시작해 '심판'으로 끝날지도 모르겠습니다. 
 
유지웅 기자 wiseman@etomato.com
  • 유지웅

쪽팔리게 쓰지 않겠습니다.

  • 뉴스카페
  • email
관련 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