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한동인

bbhan@@etomato.com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2024-06-20 18:16

조회수 : 42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022년 9월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8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 앞서 AI TECH+ 박람회를 찾아 휠체어 탑승자, 시·청각장애인 등 이용자 편의에 맞춰 변하는 지능형 키오스크 시연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식당이나 카페는 물론이고 주차장과 대형마트, 무인 편의점 등 키오스크가 없는 곳을 찾기 힘든 요즘입니다. 키오스크가 일상화됐고 많이 접하고 있지만 저도 가끔 익숙하지 않은 곳에 가면 키오스크 사용이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뒤에 누가 기다리기라도 하면 땀이 한 방울 나곤 합니다. 
 
30대인 저도 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때가 있는데 어르신들은 오죽하겠습니까. 그런데 키오스크 사용의 어려움을 겪는 건 어르신들만이 아닙니다. 제가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장애인들이 키오스크로 겪는 어려움이 상당합니다.
 
키오스크의 높이 문제도 있지만 시각·청각 장애인들이 겪는 어려움도 많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편의성이 높아졌다고 하지만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에겐 기술의 발전이 때론 소외감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이 소외감은 바뀌는 세상에 적응하지 못한다는 박탈감까지 느끼게 하죠.
 
그래서 도입된 게 시각·청각·지체 장애인은 물론 어린이·노인들까지 사용하기 편리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입니다.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는 사회적 약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음성·안면 인식은 물론 수어 영상 안내 등까지 가능합니다.
 
하지만 아직 열악한 게 현실입니다. 교육부가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규제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올해 1월부터 교육기관 내 키오스크 운용 시 의무적으로 장애인용 키오스크를 설치하는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결국 공공기관에서만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를 볼 수 있는 겁니다. 이런 현실을 해결할 수 있는 건 국회입니다. 
 
국민의힘 비례대표인 최보윤 의원은 '장애평등정책' 법안을 1호 법안으로 대표 발의했습니다. 그는 해당 법안을 발의하며 'Leave No One Behind'라고 말했습니다.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겁니다. 
 
해당 법안의 취지는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에 걸쳐, 정책의 초기부터 일상적으로 장애인지적 관점이 고려될 수 있도록 제도화하자는 건데요. 우리 사회가 지극히 비장애인 중심으로 설계돼 있기 때문입니다.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도 여기서부터 해결해 나가야 합니다.
 
좋은 법안을 발의해도 문제가 있습니다. 국회 상임위원회가 정상적으로 돌아가야 논의 절차를 밟을 텐데, 반쪽짜리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국회 운영이 이 지경까지 온 게 어느 한쪽의 잘못이겠습니까. 여야가 이제라도 민생을 위해 정상적인 국회를 운영할 때입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
  • 한동인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
관련 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