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곽보연

'韓, 반도체 표준화 경쟁 점화'..공정기술, 사상 최초 국제표준 채택

2013-01-14 14:32

조회수 : 2,296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곽보연기자] 국내 반도체 공정기술이 사상 최초로 국제표준에 채택되면서 국내 반도체업계와 선진국들의 표준화 경쟁이 한층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와 한국반도체산업협회(KSIA)는 14일 국내 반도체 공정기술이 국제표준(SEMI E5-0712)으로 채택됐다고 밝혔다.
 
반도체공정 표준분야는 지금까지 미국과 캐나다, 일본 등이 선점해온 분야로 국내 반도체 공정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국제표준으로 채택된 SEMI E5-0712는 '반도체 장비 간 통신 규격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제조 팹의 자동화에 필수적인 소프트웨어 분야 표준이다. 팹 자동화 설비변경 시 발생하는 장비간 통신오류를 낮춰 장비 간 통신 편의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로 평가받는 반도체 공정기술을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표준화 활동이 미미한 편이었다. 반도체공정에 사용되는 SEMI의 국제표준이 850여개에 이르지만 국내에서 제정된 표준은 한건도 없었던 이유다.
 
하지만 최근 하이테크산업에서 기술력 우위보다도 표준화 선점이 경쟁력 확보의 핵심요소로 부각돼며 SEMI와 KSIA는 지난 2008년부터 공정분야 표준화 활동에 적극 나서기 시작했다.
 
삼성전자(005930)SK하이닉스(000660) 등 국내 선두업체들을 중심으로 4년여 동안 표준 개발에 노력한 끝에 국제 표준 제정에 성공했다.
 
특히 이번 표준 제정은 KSIA에서 지식경제부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중인 ‘차세대 반도체 장비 및 소자의 표준화 기술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추진된 것으로 지식경제부와 KSIA는 앞으로도 국내 장비업체들의 의견을 반영한 국제표준 개발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SEMI는 "이번 국제표준 제정을 통해 반도체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였고 국제표준을 실질적으로 주도해 나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앞으로 반도체 공정분야 표준화 선점을 위한 의미있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 곽보연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