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이혜현

ehlee@etomato.com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미 생물보안법, 막연한 반사이익 금물

2024-05-21 10:07

조회수 : 889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미국과 중국 국기가 걸려있는 모습(사진=뉴시스)
 
중국 제약 바이오 기업을 미국 시장에서 퇴출 시키기 위한 의도로 발의된 생물보안법 입법에 속도가 붙고 있습니다.
 
생물보안법은 중국 주요 유전체회사 중국인민해방군과 연계된 베이징 유전체연구소(BGI) 그룹 같은 적대 국가의 생명공학 기업· 조직·단체 등에 미국인의 유전 정보 유출을 방지한다는 것을 법안 제정 취지로 내세우고 있죠.
 
지난 1월 미국 하원이 생물보안법을 발의하자 3월에는 상원 국토안보위원회를 통과했고 지난 15일(현지시각) 미국 하원 상임위원회에서도 찬성 40, 반대 1로 순조롭게 통과됐습니다.
 
남은 절차는 하원 및 상원 전체회의를 통과한 후 대통령의 서명입니다. 미국 의회의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올 연말쯤에는 생물보안법이 정식 발효될 가능성이 높죠.
 
생물보안법이 발효되면 우리나라 바이오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장밋빛 전망도 쏟아지고 있습니다. 미국바이오협회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 124개사 중 79%가 중국에 기반을 두거나 중국이 소유한 제조업체와 최소 1개 이상의 계약을 맺고 있는데요. 제조·생산뿐만 아니라 전임상과 임상 서비스에서도 미국 기업의 대중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 기업이 빠진 자리에 동맹국의 제약 바이오 기업들이 설 자리가 생기는 것이 아니냐는 것이 반사이익의 기저에 깔려있죠.
 
국내 기업들도 이 같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지만 막연하게 호재가 올 것이라는 예단은 금물입니다.
 
국내 의약품 소재·부품·장비 자급률이 낮은 상황에서 제약 바이오 기업들이 수주 경쟁력이 높다고 할 수는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죠. 생물보안법 반사이익으로 수주 물량이 증가하거나 즉각적인 수혜를 누릴 수 있는 기업은 극히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전망이 우세합니다.
 
중국 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있는 위탁개발생산(CDMO), 의약품 핵심원료물질(COMPUND),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큰 타격이 예상되는데, 그 공백은 다국적 글로벌 제약 바이오 기업들이 차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죠.
 
특히 전 세계 원료의약품 시장이 중국과 인도 의존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상황에서 미국은 자국의 원료의약품 제조 산업 기반을 강화하고 자국 우선주의 기조로 제약 바이오 시장을 재편하고 관련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국내 제약 바이오 기업과 정부는 반사이익에 대한 섣부른 기대보다는 중국 기업의 빈자리를 공략할 글로벌 공급망 구축과 전략적 투자가 먼저입니다.
 
이혜현 기자 hyun@etomato.com
  • 이혜현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