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김재홍

“수소전기차 보급 위해 충전소 보조금 지원 절실”

제5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 개최…현재 구조로는 수소충전소 적자 불가피

2019-09-26 16:01

조회수 : 1,724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김재홍 기자] 국내에서 수소전기차의 보급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수소충전소 운영에 대한 보조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현재 구조 상 보조금이 없다면 오는 2027년까지 대규모 적자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자동차산업연합회는 26일 오전 9시30분 대회의실에서 ‘수소 모빌리티 산업의 인프라 구축과 안전성 확보’를 주제로 제5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은 수소 모빌리티 산업 확산을 위한 수소충전소 보급 등 인프라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 수소전기차 및 수소에너지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원식 하이넷 부장은 ‘수소충전소 구축 애로 및 건의사항’ 주제 발표에서 “현재 수익구조로는 수소충전소 사업이 2028년까지 계속 적자를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수소 매입가격을 kg 당 6000원, 수소 판매가격을 8000원으로 해서 마진을 2000원으로 가정하고 정부 운영보조금 없이 운영할 경우 2019년 20억원, 2021년 66억원, 2013년 144억원, 2015년 128억원 등 2027년까지 적자를 기록하고 2028년 5억원의 수익이 발생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정부 운영보조금을 연간 1억원씩 받는다면 적자 폭이 완화되며, 정부에서 튜브 트레일러를 지원하면 유통비 절감으로 수소 마진이 1000원 추가 발생해 2028년 188억원의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원식 하이넷 부장이 26일 포럼에서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수소충전소 운영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김재홍 기자
 
김 부장은 “현재 국내 수소차 보급대수는 약 3000대로 규모의 경제가 형성되지 않아 충전소 판매마진으로는 운영이 힘들어 운영보조금 지원이 불가피하다”면서 “일본의 경우 전년도 운영비의 3분의 2를 지급하고 매년 최대 2억2000만원을 지원하며, 미국은 연간 최대 30만달러(약 3억6000만원)를 3년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상업용 수소충전소 부지 확보가 어렵다는 점에서 지자체나 공공기관 보유 부지, 버스공영 차고지 부지를 활용한 충전소 구축 등의 개선방안을 제안했다. 또한 “향후 튜브 트레일러의 부족 현상이 우려되는데, 대당 약 2억원이 소요된다”면서 “수소충전소 1곳 당 최소 2개가 필요해 투자가 쉽지 않아 튜브 트레일러 확보를 위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두 번째 발표는 곽재식 한국가스안전공사 처장이 ‘수소자동차 충전소 안전확보 방안’ 주제로 진행했다. 곽 처장은 지난 5월25일 발생한 강릉 강원테크노파크 ‘수소저장탱크 폭발’, 6월10일 노르웨이 ‘수소충전소 폭발’ 사례를 예로 들면서 수소충전소의 안전이 담보되지 않으면 사고 발생 시 사업이 자칫 외면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26일 개최된 제5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 모습. 사진/한국자동차산업협회
 
따라서 수소충전소 안전관리 방안으로 △국제기준에 부합한 안전기준 강화 및 품질인증 확대, 충전소 표준시공 매뉴얼 제정 △매년 정밀안전진단,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압력 등의 충전표준 제정 △저장탱크 취성 및 이물질 검사 도입, 운송차량의 안전관리기준 강화 △지역별 긴급대응체계 구축, 사고대응 표준 매뉴얼 제정 등을 제안했다.
 
한편,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인사말에서 “수소 모빌리티 흐름이 예상보다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면서 “최근 독일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올리브 집세 BMW그룹 회장을 만났는데 10년 후를 내다본다면서 ‘X3’ 기반의 수소전기차 양산 계획을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자동차 정책은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돼야 하며, 전기차 또는 수소전기차 한 편에 올인하는 것은 금물이다. 또한 내연기관차 퇴출을 요구하는 의견도 있는데, 이런 여론에 의해 방향을 정해서는 안되며, 신중하게 가장 최적의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홍 기자 maroniever@etomato.com
  • 김재홍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