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정해훈

(영상)1612개 기업 외형만 성장…이자 22%↑

대한상의, 3분기 기준 성장성·수익성·안정성·활동성 분석

2022-12-26 12:00

조회수 : 4,478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정해훈 기자] 올해 국내 주요 상장사들이 매출액과 총자산이 늘어나는 등 외형적으로 성장했지만, 영업이익 감소, 이자 비용과 부채 비율 확대 등 수익성과 안정성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한국평가데이터(KoDATA)와 함께 1612개 상장사(대기업 160개, 중견기업 778개, 중소기업 674개)의 올해 3분기까지 재무 상황을 각각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활동성 등 4개 부문별로 구분해 분석한 보고서를 26일 발표했다.
 
우선 분석 대상 기업의 성장성을 나타내는 누적 매출액은 지난해 3분기보다 올해 3분기가 19.0% 증가했다. 코로나19 안정세에 접어든 지난해(14.0%)에 이어 매출 성장세가 유지됐다. 다만 지난해 2분기에서 3분기를 거치면서 매출액증가율이 0.5%포인트 상승했지만, 올해는 2.3%포인트 감소하는 등 성장 속도는 다소 둔화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이 17.8%, 중견기업이 23.4%, 중소기업이 10.2% 증가했지만, 지난 분기와 비교해 대기업 2.8%포인트, 중견기업 0.6%포인트, 중소기업 2.0%포인트가 각각 감소했다.
 
전 분기 대비 부채 증가액, 자산 증가액 초과
 
총자산은 전 분기보다 2.8%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총부채도 4.4% 늘었다. 실제로 분석 대상 기업의 합산 총자산은 39조원이 증가했지만, 총부채는 40조원 늘어 부채 증가액이 자산 증가액을 앞질렀다. 대기업은 총자산이 2.6% 오른 동안 부채는 4.1%가 증가했고, 중견기업은 총자산 4.0%, 총부채 5.9%가 각각 올랐다. 중소기업은 총자산이 1.2%, 총부채가 1.1% 증가했다. 
 
지난해 3분기까지 영업이익은 53.5% 늘었지만, 올해 3분기까지는 7.2% 줄었다. 특히 대기업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3분기까지 대기업은 58.3% 성장세를 보였지만, 올해는 12.5% 감소했다.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은 지난해 동기보다 각각 13.1%, 4.0% 증가했지만, 지난해의 성장률 39.7%, 19.8%에는 크게 못 미쳤다.
 
올해 3분기까지 기업이 부담해야 할 이자 비용은 지난해 동기보다 22.3% 증가했다. 이는 올해 상반기부터 시작된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대상 기업의 3분기 발생 이자 비용은 총 3조5000억원으로 1분기(2조6000억원)와 2분기(3조원)에 발생한 이자 비용을 고려하면 분기마다 4000억~5000억원의 순이자부담이 늘어나는 추세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을 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 비용)은 10.6배에서 8.0배로 급락했다.
 
지난달 24일 오후 서울의 한 은행 앞에 대출금리 안내 현수막이 부착돼 있다. (사진=뉴시스)
 
외부 차입의 증가로 대상 기업의 3분기 누적 부채비율(81.4%)과 차입금의존도(19.4%)가 지난해 같은 기간의 부채비율(74.2%)과 차입금의존도(18.9%)보다 증가하는 등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도 일제히 내려갔다. 특히 자기자본 대비 기업부채의 크기를 의미하는 부채비율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고, 전년 대비 상승 폭도 7.2%포인트로 코로나19 당시의 2019년~2020년 상승 폭(2.6%포인트, 3분기 말 기준)을 크게 넘어섰다. 
 
총자본에서 부채를 제외한 자기자본의 비중을 나타내는 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총자본)도 지난해 같은 시점보다 2.3%포인트 떨어진 55.1%를 기록해 기업의 재무건전성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파악됐다. 코로나19 당시에는 58.1%(2019년 3분기)에서 57.2%(2020년 3분기)로 0.9%포인트 하락했다.
 
재고자산 비중, 작년 6.6%→올해 8.0% 급증
 
보고서는 이들 기업의 재고자산이 큰 폭으로 늘어난 점을 근거로 나빠진 상황을 뒤집을 활동성도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3분기 말 기준으로 총자산에서 재고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6.1%, 2021년 6.6%에서 올해 8.0%로 급증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지난해 3분기 말 대비 대기업은 5.5%에서 6.8%로, 중견기업은 9.7%에서 11.4%로, 중소기업은 7.9%에서 8.4%로 각각 늘었다. 
 
재고자산회전율도 10.7회로 기록됐으며, 이는 코로나19가 가장 심했던 2020년 2분기와 같은 수준이다. 재고자산회전율은 재고자산이 매출로 이어지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회전율이 낮으면 재고자산의 소진 속도가 더뎌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기업은 12.4회, 중견기업은 8.2회, 중소기업은 5.5회로 지난 분기보다 모두 느려졌다. 기업의 자산 효율성을 나타내는 총자산회전율은 지난 분기 0.79회에서 0.78회로 소폭 내려갔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기업들이 어려운 경제 환경 속에서도 수출과 내수 판매에 많은 힘을 쏟았지만, 영업이익은 오히려 줄어든 형국"이라며 "국내 대기업의 가동률이 코로나 때보다 떨어졌고, 기업들은 앞다퉈 내년 목표 실적을 하향 조정하는 등 상황이 좋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당분간 어려움이 지속하겠지만, 이럴 때일수록 위기를 기회 삼아 새로운 활로를 찾아내는 기업가정신이 나타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정해훈 기자 ewigjung@etomato.com
 
  • 정해훈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