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정초원

정부·한은 "디플레이션 징후 아냐, 일시적 기저효과"(종합)

연말 0% 중후반·내년 1%대 회복 전망…'확대 해석' 경계

2019-10-01 11:03

조회수 : 1,531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정초원 기자] 정부와 한국은행이 사상 첫 마이너스 물가에 대해 "디플레이션 징후는 아니다"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처음으로 공식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일시적인 기저효과인 만큼 내년에는 1%대 상승률을 회복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열고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4%를 기록한 것에 대해 "물가수준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광범위하게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상황은 아닌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 금융회의를 주재했다. 사진/기재부
 
김 차관은 "최근 물가상승률은 작년 높았던 기저효과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는 전년 동월 대비로는 하락세이나, 직전월과 비교하는 전월비로는 8월 0.2%, 9월 0.4%로 상승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그는 "디플레이션은 일반적으로 물가하락에 따른 소비지연과 함께 나타난다"며 "소매판매 지수는 꾸준한 증가세를 지속하면서 특히 8월에는 3.9%로 크게 증가한 바 있고 소비자심리지수도 9월 96.9로 전월대비 4.4포인트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디플레이션을 경험한 해외 주요국과도 다른 상황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역사적으로 디플레이션을 경험한 미국 대공황(1930년대)과 일본(1990년대)의 과거사례를 보면, 물가수준의 하락이 3~7년 장기간 지속했다"며 "하지만 우리의 경우에는 공급측 충격에 의한 2~3개월 단기간에 걸친 물가하락이 예상된다"고 했다. 
 
특히 일본의 사례와 크게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며 "일본의 디플레이션 기간에 물가 조사대상 중 60%내외 품목의 가격이 하락하는 등 물가하락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우리의 경우 2012년 이후 물가하락 품목이 20~3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당분간은 작년 9월 2.1%, 10월 2.0%, 11월 2.0% 등 높았던 물가의 기저효과와 낮은 농산물 가격 등 공급측 영향이 지속되면서 물가상승률이 0% 내외에 머물 것으로 보이며 기저효과가 완화되는 연말부터는 0% 중후반 수준이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아울러 "최근 몇 달간의 물가 흐름이 디플레이션의 징후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며 "다만 최근 세계경제 성장둔화와 함께 대외적 요인 등으로 우리경제의 경제활력이 둔화된 만큼 한국은행과 함께 세계적인 물가흐름, 구조적 물가둔화 원인 등 물가동향을 면밀하게 점검하겠다"고 했다. 
 
한은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내년 이후 1%대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이날 '최근 소비자물가 상황 점검' 자료를 내고 "농축수산물, 석유류 등 공급측 기저효과는 8~10월 중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다가 11월 이후부터 점차 사라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은은 국제유가가 지난해보다 낮은 수준을 지속한 데다, 작년 여름 폭염에 따른 기저효과로 농축수산물가격 하락폭이 크게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또 지난달부터는 고교 무상교육이 시행돼 물가에 영향을 끼쳤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작년 8~9월 중 농축수산물 가격이 7월에 비해 15.5% 상승해 2009~2018년 평균인 6.8%를 크게 상회했다. 이에 따른 기저효과가 올해 8월과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게 한은의 진단이다. 지난달부터 시행된 고교 3학년대상 무상교육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0.2%포인트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정초원 기자 chowon616@etomato.com
  • 정초원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