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홍연

hongyeon1224@etomato.com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징검다리가 되겠습니다.
몸집 커진 제약바이오…'1조 클럽' 쏟아진다

2023-09-12 06:00

조회수 : 4,255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홍연 기자] 상반기 호실적을 올린 제약 바이오 기업이 성장을 거듭하면서 연 매출 1조원 달성에 성공하는 기업들이 속속 나올 것으로 전망됩니다. 올해 반기 만에 매출 1조원을 돌파한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셀트리온(068270)과 기존 1조 클럽인 전통 상위 제약사들에 이어 기반조성을 다진 LG화학·보령 등이 유력 후보로 거론됩니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화학(051910)에서 제약사업을 담당하는 생명과학본부는 매출 1조원 클럽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에만 5950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는데요. 하반기에도 당뇨신약 '제미글로'의 선전과 더불어 올해 1월 인수한 미국 항암신약 개발사 아베오파마슈티컬스(아베오)가 매출 증가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LG화학의 매출 증가폭은 현재 연 매출 1조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는 유한양행(000100), GC녹십자, 종근당(185750), 한미약품(128940), 대웅제약(069620)보다 큽니다. 올해 3000억원을 생명과학 부문 연구개발(R&D) 비용으로 투입한다고 밝혔는데요. 신성장 동력에 대규모 투자를 하며 바이오 사업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는 만큼 성장세는 더욱 가파를 것으로 보입니다. 
 
항암제 사업으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보령(003850) 역시 목표로 내건 2026년 매출액 1조원을 조기 달성할 것으로 점쳐집니다. 하반기에도 기존 항암제 매출 성장과 더불어 고혈압 신약인 카나브 제품군, 호흡기 치료제, 항생제를 통한 수익성 성장이 기대됩니다.
 
정재원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은 "카나브 패밀리의 견조한 추세에 힘입어 항암 분야에서 LBA 도입제품 및 바이오시밀러 2종을 주목한다"면서 "매분기 성장은 하반기에도 지속돼 회사가 공시한 연간 가이던스 매출 8100억원은 큰 무리 없이 달성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밖에 중견 제약사인 HK이노엔(195940)  JW중외제약(001060)동국제약(086450) 등이 잠재적 1조클럽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는데요.
 
HK이노엔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의 선전 여부가 중요하게 작용할 전망입니다. 증권가에선 내년부터 개설될 공동 프로모션 수수료와 중국 시장 판매 본격화에 따른 로열티만으로도 큰 폭의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고 내다봤습니다. JW중외제약은 전문의약품인 고함량 철분주사제 페린젝트, 관절염치료제 악템라 등의 고성장이 하반기에도 이어지는 한편, 헴비브라 등 신제품의 매출 증가가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사진=뉴시스)
 
홍연 기자 hongyeon1224@etomato.com 
  • 홍연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징검다리가 되겠습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