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장관 “탄소중립, 태양광·풍력 중추 역할…주민참여형 보급 확산”
성 장관, 영광 태양광 단지·풍력 테스트베드 방문
유휴부지 활용, 주민수용성 가능성 제시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보급모델 확산”
입력 : 2021-01-27 18:10:14 수정 : 2021-01-27 18:10:14
[뉴스토마토 정성욱 기자]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보급이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며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보급 모델을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성윤모 장관은 27일 오후 전남 영광에 위치한 태양광 발전단지와 풍력 테스트베드 현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주민수용성 확보와 기술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성 장관이 방문한 영광 태양광 발전단지는 지난해 6월 준공된 국내 최대 규모(10메가와트) 태양광 단지로 연간 13기가와트시(GW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이는 6만2000가구의 1년 전력 사용량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영광 단지는 폐염전을 활용해 조성돼 유휴부지 활용과 주민 수용성 측면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염전 폐업으로 일자리를 잃은 염부와 마을 주민이 운영할 수 있도록 2메가와트 규모의 주민 태양광 발전소를 조성해 세대당 연간 약 900만원 정도의 수익이 돌아갈 것으로 추정된다.
 
성 장관은 "지역주민이 참여해 발전 수익을 공유하는 주민 참여형 재생에너지 보급 모델을 확산하겠다"며 "국내 재생에너지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확대와 관련 인프라 구축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7일 오후 전남 영광에 위치한 태양광 발전단지와 풍력 테스트베드 현장을 방문 자리에서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주민수용성 확보와 기술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은 영광풍력발전단지의 모습. 사진/뉴시스
 
영광 풍력 테스트베드는 국내 풍력터빈 제조기업의 대·소형 풍력터빈 인증·실증 지원을 위해 송전 시설, 기상 관측탑 등을 운영 중이다.
 
1단계 사업(2011~2014년)에서는 유니슨, 두산중공업 등 국산 터빈의 실증·인증을 제공했다. 인증이 완료된 터빈은 인근 영광 풍력발전소와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 단지 등에 공급된 바 있다.
 
현재는 5메가와트급 이상 대형 풍력발전기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기 위해 2단계 확장 사업이 진행 중이다. 2022년까지 총사업비 260억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또 두산중공업 등에서 정부의 R&D 지원을 통해 개발중인 8메가와트급 대용량 해상풍력발전시스템도 영광 테스트베드(2단계)에서 실증 및 인증을 획득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 해상풍력발전시스템이 향후 신안, 서남해, 울산 등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공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영광 실증단지 외에도 너셀 테스트베드(경남 창원), 해상풍력산업지원센터(전북 군산) 등 지역별 특성에 맞는 풍력 인프라를 구축할 방침이다.
 
정성욱 기자 sajikoku@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정성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