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곪아 터졌나'…변화 택한 포스코 노조
무노조 경영 대표 포스코, 55년만에 파업 '초읽기'
노조 "사상 최대 실적에도 인건비 오르지 않아"
포스코지회, 민노총 탈퇴 등 변화 적극적
입력 : 2023-10-11 14:51:23 수정 : 2023-10-11 14:51:23
[뉴스토마토 표진수 기자] 포스코 노조가 변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무노조 경영을 대표하며 55년간 파업이 없었지만, 최근 노조의 움직임이 활발해 지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행위(파업) 조정신청서를 내면서 파업 초읽기에 나섰습니다.
 
11일 노동계에 따르면 포스코 노조는 55년만에 조정신청을 통해 파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포스코 노조는 지난 5일 교섭결렬을 선언하고, 예정대로 지난 10일 중노위에 조정신청을 제출했습니다. 열흘 간의 조정기간에도 교섭은 이어갈 예정입니다. 
 
포스코는 지난 50년간 무노조 경영이 이어지다가 2018년 양대노총이 깃발을 꽂은 이후 처음 조정신청을 한 것 입니다.  노조 관계자는 "교섭결렬 이후에도 협상은 지속한다는 계획이다"라며 "바로 파업에 돌입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지난 9월 한국노총 포스코노조, 쟁대위 출범식(사진=뉴시스)
 
노조는 이번 조정신청 배경을 두고 교섭 과정에서 최초 제시안과 달리 절충 조건을 내놨지만, 사측이 이를 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포스코 노사는 △자기본임금 16만2000원(기본급 9만2000원 포함) 인상 △일시금 600만원(주식 400만원·현금 150만원·지역사랑상품권 50만원) 지급 △격주 주 4일제 도입 등을 두고 임단협을 진행했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습니다.
 
김성호 포스코 노조위원장은 "기본급과 일시금, 주4일제 도입 등을 해주겠다며 회사의 제시안에 대해 포장을 하고 있지만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다"며 "10년 동안 임금은 두 번 동결되고, 사상최대 실적에도 불구하고 인건비는 크게 오르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
 
또한 포스코의 양대 노동조합 중 하나인 포스코지회 포항지부가 민주노총 금속노조를 탈퇴하는 등의 변화도 있었습니다. 민주노총이 개별 기업의 이익을 대변하지 못한다는 불만이 제기되면서 입니다.
 
앞서 포스코지회는 작년 말부터 금속노조 탈퇴를 추진했지만 빈번이 실패했습니다. 지난해 11월말 실시한 조합원 투표에서는 70%가 탈퇴에 찬성표를 던졌지만 금속노조가 절차상 문제를 이유로 이의를 제기해 무효처리되기도 했습니다.
 
산업계에서는 산업의 근간이되는 철강을 공급하는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의 노조 파업을 보며 노심초사하고 있습니다. 파업이 조선과 자동차 등 전후방 산업에 피해로 옮겨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철강업계 파업이 장기화 된다면 자동차 강판 등의 공급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며 우려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표진수 기자 realwater@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표진수

앞만 보고 정론직필의 자세로 취재하는 기자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