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칼럼)부동산 PF 부실 뇌관 터질까
입력 : 2024-05-23 00:00:00 수정 : 2024-05-23 13:27:45
"2022년 하반기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려 뇌관이 터지는 시점은 올해 4월 총선 이후가 될 것이다."
 
올해초부터 자본시장에 돌아다니던 흉흉한 소문의 내용인데요. 총선 전까진 정치권이 부동산 PF 문제를 수면 위로 올리지 않을 것이란 '증권가 지라시'였습니다. 표심잡기에 도움이 되지 않는 만큼 도마 위에 올릴 일은 없다는 해석이 가능했던 셈이죠.
 
총선 이후 한달여가 지난 현재 시점까지 사실상 사업장 부실 여파가 크게 드러난 곳은 없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금융당국은 담달부터 사업장 분류를 기존 대비 더욱 세분화해 문제가 있는 부실현장에 대해선 선제적 조치에 나선다는 복안을 세웠습니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여신을 보유한 증권사, 캐피탈, 저축은행을 필두로한 제2금융권을 세분화해 대응 전략을 세울 것으로 보이는데요. 현재 부실이 가장 크게 우려되는 쪽은 제2금융권입니다. 신용평가사들도 올해 추가 적립이 필요한 충당금이 캐피탈과 제2금융권에서만 6조8000억원 정도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증권업권에선 2조원 가량이 최대치로 산출됩니다.
 
부동산 PF 사태와 관련해 연초래 돌았던 찌라시 내용에 대해 총선이 지난 현재 부동산 관계자들에게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부동산 PF 뇌관이 터질 개연성은 낮다고 합니다.
 
위기감이 감돌던 시점 미리 대주단(금융사)과 협의를 통해 만기 연장에 성공한 PF 현장이 많다는 것인데요. 일반적으로 PF사업은 브릿지론에서 본PF로 이어집니다. 그런데 기존 현장의 사업성 검토를 통해 담보를 추가로 제공하고 만기 연장에 나섰다고 합니다. 
 
다만 PF 조건이 까다로워진 만큼 신규 사업장이 사실상 씨가 말랐다고 합니다. 더불어 사업성이 낮은 현장 중 브릿지론이 이미 실행된 현장은 본 PF로 나아가기 어렵게 됐다고 합니다.
 
이 부분은 신평사에서 지적하는 부분과 일치합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전체 브릿지론 사업장에서 약 38~46%의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금융당국은 내달부터 새로 마련한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를 진행합니다. 착공 이전 토지매입·인허가, 시공사 보증 등 초기단계에 필요한 자금을 대출해 주는 브릿지론과 시공 단계의 자금을 대출받는 본PF 등만 사업성 평가 대상이었던 기존과 달리 토지담보대출(토담대), 채무보증, 새마을금고도 사업성 평가 대상에 포함합니다. 
 
기존 3단계에서 4단계로 세분화에 나서 마지막 단계인 '부실우려'로 분류되면 경공매를 통해 사업장 청산에 들어가게 됩니다. 당국은 전국 5000여곳의 사업장 중 2~3%가 부실우려 현장이 될 것으로 우선 보고 있습니다.
 
최성남 금융산업부 선임기자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최성남

사랑은 높게, 우정은 깊게, 그러나 잔은 평등하게! 평등한 세상을 꿈꿉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