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2011-건설부동산③) 벼랑끝 건설사..생존대책이 없다
건설사 고난의 2011년..잇단 워크아웃·법정관리
최저가낙찰제 확대 시행 두고 정부와 갈등..부작용도
"내년 중소형 건설사 추가 구조조정"
입력 : 2011-12-22 09:48:53 수정 : 2011-12-22 15:15:51


[뉴스토마토 김동현기자] 올해 월드건설·LIG건설· 삼부토건(001470) 등이 줄줄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등 건설업계는 여느 해보다 힘든 시기를 겪어야 했다.
 
이는 주택경기 침체, 공공발주 물량 감소 등 악재가 겹친데다 최저가 낙찰제를 확대 시행하려는 정부까지 건설사들을 뒤흔든 탓이다. 업계에선 내년에도 중소건설사들 위주로 추가 구조조정이 있을 것으로 보고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 올해 공공공사 수주액 16% 감소..건설업 GDP도 하락
 
22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1~10월간 국내 건설수주액은 81조646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하면 4.1%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 부문별 증감액을 살펴보면 사정이 그닥 좋지는 않다. 민간부문에서 설비투자가 증가하며 플랜트·기계설치 등 수주액이 늘며 전년 같은 기간보다 17% 늘었지만 사회기반시설(SOC)와 공공주택 공사발주 위축으로 공공부문은 16.2% 줄었다.
 
공공부분 수주액은 지난 2009년 수주액(46조6214억원)에 비하면 -45.5% 급감했다.
 
다른 산업과 비교해도 올해 건설업은 유독 내리막길을 걸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건설업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동기와 비교해 ▲ 1분기 -9.9% ▲ 2분기 -7.6% ▲ 3분기 -3.3% 씩 감소했다.
 
같은기간 제조업이 ▲ 1분기 9.8% ▲ 2분기 7.2% ▲ 3분기 6.1% 성장한 것과 비교하면 큰 대조를 보인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내년에도 유럽 금융시장에서 시작되는 글로벌 금융위기는 국내산업계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정권말기 들어 공공발주도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여 업황 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 100대 건설사 4 분의 1이 구조조정..수익성 악화
 
이처럼 부진한 건설업황은 건설사들이 그동안 대출했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PF) 문제를 키우면서 건설사들의 숨통을 조이고 있다.
 
지난달 범양건영(002410)과 임광토건이 법정관리에 들어간데 이어 이달에도 고려개발(004200)의 워크아웃 신청으로 시공능력평가 100위권 건설사 가운데 2009년 이후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받거나 신청한 곳은 24곳에 달한다. 100위권 건설사 4곳 중 1곳은 구조조정을 받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내년에도 한계 상태에 도달하는 건설사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데 있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갚기 힘든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의 기업이 47.1%에 달했다.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비율은 100%에 못 미치면 번 돈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하기 어렵다는 뜻이 된다.
 
이는 작년 상반기 28.2%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어든 수치다. 시공순위 20위권 내 K사 관계자는 "저가낙찰에 공사비가 박해진데다 금융권 이자 부담마저 늘었기 때문"이라며 "철도 등 몇몇 발주를 제외하곤 내년 공공공사도 줄어들 것으로 보여 사정이 좋지 않다"고 토로했다.
 
◇ 정부, 최저가낙찰제 확대 시도..건설사 허위 입찰 등 부작용
 
하지만 올해 정부는 최저가낙찰제 적용 공사를 확대 시행하려는 정책을 써 건설업계와 마찰을 빚었다.
 
최저가낙찰제는 지난 2001년 1000억원 이상, 2005년 500억원 이상, 2006년 300억 원 이상 공공건설로 계속 확대돼왔는데 건설사들은 과열 저가수주 경쟁으로 수익성을 떨어뜨린다는 비판을 해 왔다.
 
기획재정부는 최저가낙찰제를 내년 1월1일부터 100억원 이상까지 확대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지역·중소업체의 경영난 가중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2년간 유예해 2014년부터 적용하기로 한 상태다.
 
이에 따른 부작용은 이미 나타나고 있다. 조달청은 지난달말 최저가 낙찰제 공사 입찰시 허위증명서를 제출한 68개 건설사를 부정당 업체로 지정하고 앞으로 3~9개월간 공공공사 입찰에 참가할 수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68개 건설사 중에는 상위 10대 건설사도 포함돼 있다.
 
10위권 내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당시 저가심의를 통과하기 위해 증빙서류로 세금계산서를 꾸미는 것은 전체 건설업계의 관행이었다"며 무조건 낮은 가격을 써야 낙찰되는 최저가낙찰제가 문제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이홍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가격 위주의 입·낙찰 제도에서 친환경, 품질, 에너지 절감 등을 우선적으로 평가하는 제도로 바꿀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 "내년 중소형 건설사 추가 구조조정"
 
결국 건설업계는 내년에도 뾰족한 수는 없을 것으로 내다보면서도 주택시장 개선에 대한 기대감은 버리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제 금융위기 여파와 정부의 SOC예산 축소로 공사물량은 더 줄어들 가능성이 크지만 주택시장은 다소 개설될 것으로 조심스레 내다보고 있다.
 
강승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특히 지방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부터 주택 가격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며 "내년에는 지방의 주택시장 개선 흐름이 수도권에도 점차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주택사업 비중이 높은 중소형 건설사들의 어려움은 내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착공전 대출받은 과다한 PF대출 때문으로 주택시장이 큰 폭으로 개선되지 않는 한 계속 남아있는 문제다.
 
강 연구원은 "재무구조가 열악해진 중소형건설사에 대해 추가 구조조정 가능성이 있다"며 "대형건설사를 중심으로 주택시장이 재편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김동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