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모병원 '리베이트' 비리수사, 업계 전반 확대조짐
입력 : 2012-04-02 16:42:31 수정 : 2012-04-02 17:33:08
[뉴스토마토 최현진·문경미·조필현] 서울성모병원의 한 유력 의사로부터 시작된 검찰의 '리베이트 비리' 수사가 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 의료계의 '리베이트' 문제는 소형 개원의 일부의 문제로 취급돼 왔지만, 이번에 굴지의 대학병원에세, 게다가 원로급 유명의사가 대상자라는 점에서 그 파장을 가늠하기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부장 김우현)는 2일 검찰이 서울성모병원 P 교수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했다는 <뉴스토마토>의 이날 단독보도(▶참조 '검찰, 서울성모병원 유력의사 거액 리베이트 포착')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한 것은 사실이나 그 대상 등 자세한 내용은 수사중인 사안으로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혔다.
 
검찰은 최근 H제약사 전 영업직원으로부터 "P 교수에게 7천만원을 건넸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지난 주말 자택 등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특히 P 교수가 H사뿐 아니라, 또다른 국내 H사, 외자사인 M,H, A, G사 등에서도 의약품 선정댓가로 뒷돈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해당업체 관련자들을 참고인자격으로 소환 조사할 예정이다. 
 
검찰의 이같은 움직임에 대학병원 등과 제약업계는 아연 긴장하는 모습이다.
 
리베이트를 제공한 제약업체와 제공받은 의사 모두를 처벌하는 리베이트 쌍벌제가 실시된 이후, 제약업계 직원들과 개원의 일부에 대한 검찰수사가 이뤄진 적은 있지만, 대형병원이 연루된 리베이트 비리를 검찰이 본격적으로 들여다보는 것은 처음이다.
 
수사 진행상황에 따라 일파만파로 파장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특히 제약업계는 거의 '공황' 상태에 빠졌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언젠가 터질 문제가 터진 것 같다"며 "검찰의 칼끝이 어디까지 미칠지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국내 제약사들의 복제의약품 마케팅 정책이 바뀌지 않은 상태여서, 검찰이 본격적으로 들여다 본다면 안걸릴 데가 없다고 봐야한다"고 우려했다.
 
반면 다국적제약사들은 "우리는  아니다"고 한발 물러서면서 "이번 기회에 오히려 불법적인 리베이트 관행을 뿌리 뽑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한 다국적제약사 관계자는 "본사의 마케팅 규정상 우리는 어떤 '리베이트'에도 의존하지 않는다"며 "오리지널 의약품을 갖고 있는 제약사들이 무슨 리베이트를 하겠느냐. 만약 필요하다면 조사에 적극 협조 하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제약사 간부는 "오히려 이번 기회에 대형병원의 유력 의사들이 리베이트를 강요하는 관행이 사라졌으면 좋겠다"며 "우리 제약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최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