뺏기고.. 팔리고.. 당원명부 수난시대
통진당 당원명부 검찰 압수 이어 새누리는 팔아넘겨
입력 : 2012-06-15 13:02:35 수정 : 2012-06-15 13:03:09
[뉴스토마토 박수현기자] 정당의 '심장'이라고 불리는 당원명부가 검찰의 압수수색으로 인해 빼앗기는가 하면, 내부 당직자가 돈을 받는 댓가로 팔려가는 등의 '수난'을 겪고 있다.
 
지난달 21일 검찰이 통합진보당 중앙당사 등에 대한 압수수색으로 당원명부가 담긴 서버 3대를 가져간 것에 이어, 14일에는 새누리당의 한 당직자가 당원명부를 외부로 유출한 사실이 드러나 검찰이 수사에 착수한 것.
 
검찰은 이날 새누리당의 이모 수석전문위원이 200만명의 개인정보가 담긴 당원명부를 문자메시지 발송 업체로부터 400만원을 받고 판 혐의가 있다고 밝혀 정가를 발칵 뒤집었다.
 
이어 수원지검 형사2부에서는 이모 위원에게 영장을 청구하고, 당원명부 유출 경로 등에 대해서도 수사를 확대하고 있어 사태는 일파만파로 확산되는 중이다.
 
이에 김영우 새누리당 대변인은 14일 당원명부 유출관련 서면브리핑에서 "당원과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 드린데 대해 깊이 사과드린다"며 "자체적으로 사태파악에 나섰으며 당원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 검찰의 수사에도 적극 협조할 것"이라고 진화에 나섰다.
 
이는 새누리당 스스로가 통합진보당 부정경선 국면에서 검찰의 적극적 수사를 촉구한 전력이 있었던 점을 상기할 때 아이러니한 장면이란 평가다.
 
여기에 통합진보당 당원명부가 지난 10년간 20만명의 입탈당 기록임에 비해, 이번 새누리당 당원명부에는 200만명의 개인정보가 담겨 있어 사태의 경중이 다르다는 소리도 나온다.
 
더욱이 출발 총성이 울려퍼진 대선레이스에서 민주통합당이 문재인·손학규 상임고문 등의 잇따른 출마로 초반 주도권을 제압한 것에 비해,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경선룰을 둘러싸고 잡음이 무성한 상황에서 벌어진 일이라 체감되는 충격의 강도는 더욱 커 보인다.
 
한편 앞서 통합진보당에서도 비례대표 부정경선으로 촉발된 논란이 검찰의 기습 압수수색으로 이어져 한바탕 소란이 난 적이 있다.
 
강기갑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며 "당의 심장을 탈취당했다. 당원의 신상정보 압수수색은 공당에 대한 정치사찰"이라며 강력히 반발했었다.
 
이로 인해 이석기·김재연 의원의 제명을 놓고 격화되어만 가던 구 당권파와 신 당권파가 대립을 잠시 중단하고 서초동 대검찰청 앞에 모여 공동으로 규탄집회를 개최할 정도로 반발이 심했고, 민주당에서도 검찰을 비난하는 논평을 잇따라 냈다.
 
그런데 통합진보당 당원명부 사태가 내부의 정치력 부재로 인해 검찰에게 '빼앗긴' 것이라면, 이번 새누리당 당원명부 사태는 내부자의 돈문제로 인해 외부로 '팔려간' 것이라는 차이가 있다.
 
새누리당에서 통합진보당과 달리 "검찰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한 것에는 이러한 차이점이 깔려 있다.
 
하지만 양당 모두 공히 자신들의 문제점으로 인해 당원들의 소중한 개인정보가 검찰과 외부로 유출되었다는 점에서 비판을 피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박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