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그간 부진했던 우주기술 산업화 대책 마련
입력 : 2013-05-02 11:33:39 수정 : 2013-05-02 11:36:18
[뉴스토마토 이한승기자] 미래창조과학부가 국내 우주기술의 산업화를 통한 신산업 및 신시장 창출을 위한 우주기술의 산업화 대책을 마련한다고 2일 밝혔다.
 
우주산업이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고 신산업 창출 잠재력이 큰 분야지만 그동안 국내 우주기술의 산업화 성과가 미흡한 상황을 타계하고 우주기술 분야의 산업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이번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는 설명이다.
 
미래부는 "현황이 파악된 61개 우주분야 산업체 중 우주산업 매출이 10억원 미만(44.2%)이고 종업원수가 100인 미만(50.8%)인 산업체가 대다수"라며, "국내 우주시장 규모가 작고 국책 연구소 중심의 연구개발 및 산업화 주도로 사업역량을 갖춘 우주분야 산업체의 육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지난 10년간 1개의 발사체 프로젝트(나로호)만 진행되고 6개 위성 만이 발사되는 등 산업체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만한 충분한 개발물량도 부족했다고 꼬집었다.
 
이에 미래부는 국내 우주산업 문제에 대한 진단결과를 토대로 국내 우주기술의 산업화 추진을 위한 주요 전략수립에 착수한다고 설명했다.
 
우선 향후 정부 주도의 위성 및 발사체 개발사업에 산업체의 참여를 확대하고 연구소 보유 기술의 산업체 이전 확대 등을 통한 산업체 역량 제고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어 우주산업시장 수요의 지속적 창출을 위해 세계적을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500㎏급 위성을 개발하고 가격경쟁력 확보를 통한 전세계 중저가형 중형위성 시장 선도전략을 세울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한국형발사체 적기 개발 및 중소형 국내위성 자체 발사 등 국가 차원의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 수립 ▲의료·섬유·환경·건강 등 분야와 융복합이 가능한 우주기술 발굴 및 신산업·신시장 창출 방안 ▲정부차원의 정책적 지원 강화방안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
 
미래부는 '우주기술의 산업화 육성대책' 마련을 위해 산·학·관·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달 초 기획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다.
 
향후 중간 대책이 나오면 공청회 등을 통해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고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오는 9월 말까지 '우주기술의 산업화 육성대책'을 확정한다는 전략이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이한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