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윤 "2014년말까지 우리은행 새 주인 정할것"
입력 : 2013-06-02 12:00:00 수정 : 2013-06-02 12:00:00
[뉴스토마토 원수경기자]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지난 1일 "오는 2014년 말까지 우리은행의 새 주인을 정해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 위원장(사진)은 이날 출입기자단 산행에서 "매각종료를 위한 법적인 절차가 최종 마무리되는 시점은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때까지 주인은 정한다는 것이 현재의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 위원장은 우리금융 매각 방식에 대해서는 아직 모든 방안이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라면서도 자회사 분리매각으로 방향을 잡고 있는 것은 맞다고 설명했다.
 
신 위원장은 "먼저 지방은행 등을 떼서 팔고 나중에 우리은행 중심으로 나누면 은행을 지주와 합칠 것"이라며 "지방은행은 최고가 입찰 원칙에 따라 매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금융지주는) 시너지를 위해 지주체계를 만든것이 아니라 공적자금을 쏟아붇다보니 묶을게 필요해 만들었을 뿐"이라며 "매각에 있어서도 지주를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신 위원장은 분리매각을 할 경우 우리금융의 몸집도 가벼워지고 금융지주회사법 등 여러 법적 제약에서 벗어나 인수를 수월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신 위원장은 또 "인수가 아닌 합병을 할 수 있는 길도 열어놓을 것"이라며 "주식교환으로 합병을 하면 주식매수청구권이 발생해 어려울 수 있지만 정부는 단 1주도 가지고 있지 않고 다 파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합병을 하더라도 신속히 정부가 주식을 다 팔수 있는 방법을 기술적으로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지배구조개선 태스크포스(TF)와 관련해서는 "TF에서 논의된 내용을 법과 제도, 규정 등으로 강제하지는 않고 모범규준이나 가이드라인 등으로 해서 지킬것을 권고할 것"이라며 "다만 이를 지키지 못했을 때 그 이유를 설명토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당국과 시장에 설명하는 과정에서 시장과 언론의 압력 등을 통해 자율적규제가 이뤄지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
 
감독체계 개편에 대해서는 "금융안정협의회를 새로 만든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이미 거시경제금융회의가 있다"며 "기존 체제로도 잘 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KB금융지주 회장 인선문제와 관련해 관료들이 재정경제부 차관 출신인 임영록 KB금융 사장을 밀고 있다는 시각도 있는게 아니냐는 질문에 "KB금융은 민간금융사로서 정부가 어떤 식으로든 전혀 인사에 개입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며 "관료도 능력, 전문성 있으면 금융그룹 회장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신제윤 위원장은 "임 사장 같은 경우에는 외부인사라고 보기도 애매하다"며 "루빈 씨티그룹 회장도 장관출신"이라고 덧붙였다.
 
우리경제의 대외적인 위협요인으로는 아베노믹스와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의 방향을 꼽았다.
 
신 위원장은 "아베노믹스는 잘되도 문제, 못되도 문제"라며 "실패하면 전 세계 경제가 충격을 받으니 우리나라 경제에도 큰 타격이 되고 성공하면 우리 수출기업의 경쟁력이 떨어져 타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의 방향이 더 큰 위험요소"라며 "월 850억달러씩 돈을 뿌리고 있는데 이는 엄청난 규모로 미국이 어떤 타이밍에 돈을 거둬들이느냐가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원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