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국정원·NLL' 부담안고 내일 방중길
북핵·남북관계 개선 해법 모색 주목
입력 : 2013-06-26 10:51:13 수정 : 2013-06-26 10:54:15
[뉴스토마토 정경진기자]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사건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공개를 놓고 파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27일부터 나흘간의 일정으로 중국을 국빈 방문한다.
 
국정원 사건에 대해 침묵했던 박 대통령이 뒤늦게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을 통해 "의혹이 있다면 밝혀야 한다"면서도 "그 절차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나설 문제가 아니다"는 입장을 밝힌 뒤 이번 사태는 더욱 꼬여가는 형국이다.
 
박 대통령의 언급이 나오자마자 이뤄진 국정원의 돌발적인 남북정상회담 문건 공개가 오히려 여권에 역풍으로 작용하면서 청와대는 더욱 곤혹스러운 처지가 됐다.
 
박 대통령이 지명한 장·차관들이 잇따라 낙마하면서 국정운영에 큰 차질을 빚었고, 북한의 3차 핵실험 강행과 이로 인한 한반도 안보위기가 군사적 충돌 직전까지 전개되는 등 새 정부 출범이후 계속되는 잇단 악재에 국민 여론도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뤄지는 박 대통령의 이번 방중은 발전적인 한중관계 개선을 모색하는 한편 북핵문제도 해법을 찾아야 하는 어려운 숙제를 안고 있다.
 
청와대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27일 오전 중국 베이징에 도착한 뒤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중 관계의 평가와 미래비전을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다.
 
28일에는 리커창 총리와 장더장 전인대 상무위원장과 회담을 갖는 등 중국의 새 지도부와 만나 양국 현안을 논의한다. 박 대통령은 이어 29일부터 30일까지 성서성 고위 지도자 접견과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 시찰 등의 일정을 가진 뒤 귀국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의 이번 중국방문의 주요 과제 중 하나는 북한의 비핵화에 대해 양국이 합의점을 도출할 것인지 여부다.
 
중국이 과거에는 북한의 핵실험에도 북측을 두둔하는 입장을 보였지만 최근에는 비판적인 자세를 보이는 점을 감안할 때 양국 정상이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감대를 이룰 수 있을 지 주목받고 있다.
 
아울러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인 한반도신뢰프로세스에 대한 중국의 지지를 받아낼 수 있는지도 관심사다. 남북관계의 마지막 희망으로 받아들여졌던 개성공단까지 운영이 중단된 상황에서 출구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됐던 당국자회담까지 무산된 상태다.
 
하지만 원칙을 고수하는 우리 정부는 여전히 북한과의 대화재개에 미온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이 남북문제 해결에 윤활유 역할을 해줄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박 대통령이 이번 방중 기간 중 한·중관계 발전과 함께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해법을 찾을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정경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