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로에 선 고가 스마트폰..삼성·LG 외줄타기
입력 : 2013-07-11 19:46:43 수정 : 2013-07-11 20:26:52


[뉴스토마토 곽보연 기자] 앵커: 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세를 이끌었던 '하이엔드'(High-End) 스마트폰의 질주에 '브레이크'가 걸렸습니다.
 
저가의 보급형 스마트폰은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그리고 있는 반면 고가의 하이엔드 스마트폰 성장세는 점차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스마트폰 시장의 현황과 미래 진단해봅니다. 산업부 곽보연 기자 나왔습니다.
 
곽 기자, 고가 스마트폰의 성장세가 정체되고 있다구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증권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해 300달러(한화 33만원 수준) 이상 고가 스마트폰의 출하량은 약 3억8000만대로, 지난해 기록한 3억4000만대에서 12% 늘어나는데 그칠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앞서 지난 2010년 89%, 2011년 59%, 2012년 26%의 출하량 증가율을 기록했던 것과는 뚜렷한 대비를 이루고 있는 겁니다.
 
반면 300달러 미만의 보급형 스마트폰은 유례 없는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스마트폰 시장이 당분간 외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이기도 한데요, 그 본질은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한 저가의 보급형 성장에 기인합니다.
 
올해 보급형 스마트폰의 출하량은 5억8200만대로 지난해보다 약 62% 급증한 것으로 증권업계는 분석했습니다. 보급형 스마트폰 출하량은 지난 2010년 53%의 성장률을 기록한데 이어 2011년 70%, 지난해에는 63%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앵커: 수치상으로 봤을 때는 고가 스마트폰의 하향세와 보급형 스마트폰의 성장세가 확연하게 눈에 띄는군요.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을 어떻게 진단하고 있습니까?
 
기자: 해외 시장조사기관들의 시각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는데요,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캐너코드 제뉴이티는 지난 6월 고급형 스마트폰의 판매 성장세에 둔화 신호가 켜진 것으로 나타났다며 애플과 삼성전자, HTC 등 대표적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의 실적에 부정적 전망을 쏟아냈습니다.
 
이 가운데 시장의 관심을 끄는 대목은 고급형 스마트폰의 성장세 저하가 보급형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 상승과 맞물려 진행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 중심축이 고가 프리미엄급에서 준프리미엄급, 보급형 스마트폰으로 이동하고 있는 건데요,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시장의 경기침체와 이에 맞물려 신흥시장이 부상하고 있다는 점 등을 그 이유로 꼽았습니다.
 
특히 중국, 인도 등의 신흥시장에서는 저가 제품의 수요가 강하고, 플래그십 모델이나 고가 스마트폰은 점차 인기가 꺾이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앵커: 시장 상황이 보급형 스마트폰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말씀인데, 제조사들은 이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습니까?
 
기자: 고가 스마트폰으로 높은 마진을 남겼던 제조사들은 프리미엄 제품의 생산량을 줄이거나, 준프리미엄급 및 보급형 스마트폰의 라인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하고 있습니다.
 
우선 올해 고가 스마트폰 판매비중이 97%에 달하는 애플은 올 하반기 아이폰 생산량을 줄일 것으로 전망됐는데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 웨지파트너스의 브라이언 블레어 애플담당 애널리스트는 리포트를 통해 "애플이 기존 약 1억1500만대에 이르렀던 아이폰 생산량을 9000만대 가량으로 낮출 것으로 보인다"며 올 하반기 애플이 아이폰 생산량을 감산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애플의 보급형 아이폰 출시 계획도 점차 구체화되고 있는데요, 송은정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보고서를 통해 "애플이 오는 9월 보급형 아이폰을 출시할 예정"이라면서 "아이폰5 출고가 대비 최소 38% 저렴한 제품"이라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앵커: 삼성전자나 엘지전자와 같은 국내 제조사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요?
 
기자: 국내 제조사들도 중저가 보급형 스마트폰 라인업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전략을 짜고 있습니다.
 
고가 스마트폰 판매비중이 42%로 예상되는 삼성전자는 저가 스마트폰 라인업을 다양화하면서 제품군 다변화도 꾀하고 있는데요,
 
삼성전자는 지난 5월15일 영국에서 15만원대의 저가 스마트폰 '갤럭시 영'과 '갤럭시 페임'을 출시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갤럭시S4의 보급형 모델인 '갤럭시S4 미니'를 출시했습니다.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판매비중이 37%로 예상되는 LG전자는 보급형 LTE 스마트폰인 'F시리즈'와 'L시리즈'를 유럽, 미국, 중남미 시장에 출시했습니다.
 
고가 스마트폰 판매비중이 24%로 낮은 편인 대만의 스마트폰 제조사 HTC도 지난달 19만원대의 저가 스마트폰 '디자이어 200'을 출시하는 등 제조사들이 다각도로 탈출 전략을 모색하고 있었습니다.
 
앵커: 삼성과 LG전자 등 제조사들이 전환 정책을 펴고 있는 거군요. 하지만 이 업체들에 대한 시장의 우려는 여전한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뭔가요?
 
기자: 네 지적해주신 것처럼 삼성전자를 필두로 고가 스마트폰에 치중했던 대형 제조사들이 정책 전환을 시도하고 있지만 시장의 우려는 여전한 상황입니다.
 
특히 매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고 있는 삼성전자의 경우 그간 갤럭시S와 갤럭시노트 시리즈 등 고가 스마트폰의 폭발적 성장세에 힘입어 이익을 낸 만큼 그 타격은 간단치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삼성전자가 지난달 JP모간 보고서 하나에 주가가 내리 급락한 것도 같은 이유라는 분석입니다.
 
더 이상의 혁신이 존재하지 않게되면서 고가 스마트폰에 대한 소비자들의 열광이 식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 그간 나홀로 성장세를 기록하던 대형 제조사들의 앞길에 그늘을 드리운 것과 같다는 지적입니다.
 
더욱이 보급형의 경우 마진율이 고가 스마트폰에 비해 턱없이 낮아 라인업 강화를 통한 정책 전환의 효과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LG전자 역시 위험에 처한 것은 마찬가진데요, 특히 LG전자의 경우 내달 미국 뉴욕에서 공개할 'G2'에 사활을 걸다시피 했습니다.
 
하반기 실적의 명운이 G2에 걸려 있는 만큼 그에 대한 기대도 남다를텐데요, 다만 시장상황이 여의치 않은데다 비슷한 시기에 갤럭시노트3, 아이폰5S 등 대작들도 출시를 예고하고 있어 경쟁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네, 설명 잘 들었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증권계좌대비 300%, 연 2.6% 토마토스탁론 바로가기


  • 곽보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