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추석 전 장외투쟁 종료? 이대로면 설날까지 간다"
"단독회담이 중요한 게 아니라 민주당의 '4대 요구조건' 수용이 중요"
입력 : 2013-09-08 15:00:39 수정 : 2013-09-08 15:04:15
[뉴스토마토 한광범기자] 김한길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과의 '단독회담'은 목표가 아닌 국정원 대선 개입 문제의 해결 과정 중 한 단계일 뿐이라며, 단독회담 성사만으로 장외투쟁을 접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이 요구하는 '진상규명·책임자처벌·국정원개혁·대통령사과'의 4대 조건이 반드시 수용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 대표는 8일 서울 수유동 국립 4.19 민주묘지 참배 후 인근 식당에서 기자들과의 오찬 자리에서 "우리의 지금 목표는 대통령을 만나는 것 그 자체가 아니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국정원의 전면적인 개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만남을 제안한 것"이라며 "만남이 목표인 것처럼 얘기되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이 나를 만나지 않아도 우리의 요구를 명확히 들어준다고 발표하면 된다"면서도 "그러나 나를 만나 서로 요구하고 답하는 과정에서 분명히 정국을 풀 수 있으면 좋은 것"이라고 단독회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대표는 자신이 만남을 구걸하고 있다는 일각의 비판에 대해서도 강하게 부인했다. 그는 "만남 자체가 시혜인양 생각하면 만나지도 않을 것이고, 우리가 만나기 위해 떼를 쓰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사실과 다른 얘기"라며 "나도 대통령을 몇 년씩 모시고 청와대에도 있었는데, 대통령을 알현하는 것을 영광으로 여기는 정도의, 정치적 과정을 쌓는 사람은 아니다"고 했다.
 
그는 새누리당에서 주장하는 '국정원 문제 제외한 민생 의제'를 위한 청와대 회담에 대해서도 "여우와 두루미 얘기"라며 거부의사를 분명히 했다. 김 대표는 "대통령과의 만남을 앙망하려고 텐트에서 대기하는 것 아니다"며 "너무도 엉뚱한 발상이고, 문제 본질을 전혀 직시하지 못한 제안"이라고 평가절하했다.
 
김 대표는 박 대통령의 해외순방 이후 회담 성사 가능성에 대해서도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그는 이어 "박 대통령이 G20에 가면 많이 듣고 올텐데 여유 있으면 선진국에서 정치를 어떻게 하는지, 제1야당 대표하고 안 만나고 버티는 경우가 있는지, 국가정보기관이 대선에 개입했을 때 어떻게 하는지, 이런 의견들을 좀 들어보는 기회가 있으면 우리 정치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사진=장성욱 기자)
 
그는 "난 (장외로) 나오면서 장기전을 생각했다. 자꾸 (언론 등에서 복귀 시점을) 추석 연휴 얘기하는데, 설날까지도 갈 수 있다"며 "어렵게 확보한 민주주의가 이렇게 한 순간에 무너진 것은 심각한 얘기인데, 이것을 매듭짓지 않고 다음 단계로 간다는 것은 맞는 말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을 이석기 통합진보당 의원의 '내란음모' 혐의와 비교해 그 심각성을 설명했다. 그는 "이 의원의 죄는 헌정파괴를 모의하고 선동한 큰 죄다. 그런데 국정원은 헌정파괴를 국가기관의 어머어마한 조직과 예산을 갖춘 기관이 조직적으로 실행해 선거에 개입했다. 그것이 더 큰 죄"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석기 사건에 대한 관심이 집중돼 국회가 신속히 입장을 정한 것처럼 국정원 사건에 더한 관심이 있어야 한다"며 "이석기 사건 이상으로, 국정원 개혁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여기(4.19 묘지)에 온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석기 사태와 관련해 "헌법과 민주주의를 부정하는 또 다른 세력이 확인했다"며 "대표가 이석기 의원의 변호인으로 참여하며, 그를 옹호하고 방어하고 있는 것이 통합진보당의 입장이라면 우리가 같이 가기는 힘들다. 그리고 용납하기도 어렵다"고 말해 진보당과의 결별을 재확인시켜줬다.
 
또 이와 관련해 '국정원 정치공작 대선개입 규탄 시국회의' 주최의 촛불집회 참석여부에 대해서도 "논의해봐야 한다"면서도 "시민들의 촛불이 이석기 의원의 세력을 옹호하는 도구로 이용당하는 일은 경계해야 한다"고 유보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그러나 김 대표는 새누리당이 민주당에게 동참을 압박하고 있는 이석기 의원에 대한 '제명 징계안' 처리 여부에 대해선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그는 "체포동의안과 제명안은 그 무게가 완전히 다른 것"이라며 "제명요건을 헌법 개정 요건과 맞춘 것은 그만큼 신중하자는 헌법의 요구"라며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그는 아울러 6일 조경태 최고위원의 '이석기 사태에 민주당도 일면 책임 있다'는 발언에 대해선 "집권세력과 정면으로 대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럴 때 제일 경계할 것이 내부의 분열"이라며 "내부 분열을 야기할 수 있는 것에 대해 극도로 경계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한광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