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회담제안 역공에 민주당 수용..주도권은 朴에게?
김한길 배수진에 朴대통령 시간차 응수..'결단' 부각 모양새
입력 : 2013-09-13 10:58:09 수정 : 2013-09-13 11:01:47
[뉴스토마토 박수현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해외순방을 마치고 돌아온 직후 있은 청와대의 3자 회담 역공을 민주당이 13일 수용키로 결정했다.
 
민주당은 12일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이 제안한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 3자 회담을 놓고 하루를 고민하다 결국 이를 받아들였다.
 
이날 김한길 대표는 "3자 회담에 응하겠다"면서 "회담의 형식보다는 그 내용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앞서 민주당은 박 대통령이 거듭 "국정원으로부터 어떤 도움도 받지 않았다"며 의제를 민생으로 국한한 5자 회담을 고수하자 '선 양자회담, 후 다자회담' 카드로 한 발 물러선 바 있다.
 
당시 김 대표는 박 대통령에게 해외순방 전까지는 답을 내놓아야 한다며 노숙투쟁에도 돌입하는 사실상의 배수진을 쳤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이에 대한 입장 표명을 하지 않은 채 4~11일 일정의 해외순방길에 올랐다. 이 기간 동안 정기국회는 공전됐고, 이석기 통합진보당 의원 내란 음모 사건이 더해져 여야의 대치가 계속됐다.
 
박 대통령 사과와 국정원 개혁이라는 기치를 들고 장외로 나간 민주당으로서는 명분 없는 회군을 선택할 수도 없는 입장이라 답답한 시간들만 흘러간 셈이다.
 
이런 가운데 박 대통령이 기존의 태도를 바꿔 3자 회담을 전격 제안했다. 오는 16일 국회로 직접 와서 해외순방 성과를 보고한 뒤 여야 대표를 만나겠다며 의제도 '국정 전반'으로 넓혔다.
 
이에 결과보고서 채택에 실패한 국정조사 종료 이후 지루하게 이어진 대선 개입 대치 국면은 급물살을 맞게 됐다.
 
특히 민주당의 역제안에 시간차로 응수한 박 대통령의 전략이 부각되는 분위기다. 박 대통령의 결단으로 회담이 성사되는 모양새가 됐기 때문이다.
 
민주당이 청와대의 제안에 "청와대의 일방적인 발표는 대화 상대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을 생략한 것으로써 제안의 진정성을 확인하기가 어렵다"고 뜸을 들인 것도 주도권을 뺏길까 염려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또 김 대표가 "국정원 개혁 등 민주주의 회복에 대한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가 담보되는 회담이 돼야 할 것"이라고 분명히 한 것은 회담 의제에 대선 개입 문제를 포함시키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한편 김 대표는 회담 수용의 뜻을 전하면서도 "어제 청와대가 일방적으로 발표한 내용은 양측의 사전 조율과 합의를 거친 결과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제까지의 관례를 벗어나서 이번 3자 회담에 대한 사전협의가 필요 없다는 것이 대통령의 입장이라면 그 점도 그대로 받아들이겠다"며 '통 큰 모습'을 강조하기도 했다.
 
(사진=박수현 기자)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박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