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증 논란' 김용판 전 청장, 국정감사 증인 채택
안행위, 국정원 사건 증인 경찰측 인사들 지명..권은희 전 과장도 포함
입력 : 2013-10-07 19:53:15 수정 : 2013-10-07 19:57:02
[뉴스토마토 김현우기자] 국정조사에서 증인선서를 거부했던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이 경찰청 국정감사 증인으로 다시 채택됐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는 7일 전체회의를 열고 경찰청•서울경찰청 국정감사를 각각 오는 15일, 17일 열기로 합의했다.
 
경찰청 국감 증인에는 김기용 전 경찰청장, 김용판 전 서울청장, 최현락 전 서울청 수사부장, 이병하 전 서울청 수사과장, 이광석 전 수서경찰서장,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 김수미 전 서울경찰청 사이버분석관 등 23명이 채택됐다.
 
경찰청 국감 참고인은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 박주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사무처장, 이상진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등 5명이다.
 
서울청 국감에는 20명의 증인들이 지명됐다.
 
이 중에는 최현락 전 수사부장, 이병하 전 수서경찰서장, 권은희 전 수사과장 등 경찰청 국감과 중복된 증인들도 있다.
 
이들은 대부분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 국정조사 증인으로 나왔던 사람들이다.
 
김용판 전 청장은 다시 핵심 증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청장은 국정조사에서 권은희 전 수사과장에게 외압을 넣은 적이 없다고 증언했다가, 권 전 과장이 이를 ‘거짓말’이라고 지적하면서 위증 논란까지 휩싸였다.
 
◇국정조사 증인으로 출석한 권은희 전 수사과장(좌),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우)(사진=김현우 기자)
 
여야의 증인 채택이 순조롭지만은 않았다.
 
새누리당은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실종논란과 관련된 참여정부측 인사들을 증인으로 채택할 것을 요구했고, 민주당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과 관련된 국정원 인사들을 증인으로 요구하면서 여야간 정치 공방이 벌어지기도 했다.
 
증인채택 문제가 정치 쟁점으로 치닫자 여야간에 논란을 만들지 말자는 공감대도 형성됐다.
 
이에 따라 여야는 국정원 사건과 관련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찰측 인사들만 증인으로 채택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증인 채택 합의와 관계없이 여야는 국정감사에서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 공방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검찰 수사를 통해 국정원 요원 댓글 사건이 발각된 직후 김용판 전 청장이 이종명 전 국정원 차장과 만났고 이후에도 전화통화를 한 사실, 서울 경찰청 사이버 수사대의 증거 은폐 정황 등이 나타났기 때문에 여야 공방은 국정조사 때보다 더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김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