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경기지사 경선 첫 TV 토론..자질·정책 '대립각'
입력 : 2014-05-08 19:41:07 수정 : 2014-05-08 19:45:18
[뉴스토마토 한고은기자]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지사 경선 후보들이 8일 첫 TV 토론을 갖고 각자의 장점을 강조하고 정책에 대한 치열한 토론을 펼쳤다.
 
경인방송(OBS)이 생중계한 이번 TV토론은 세월호 참사로 약 한 달 정도 연기된 것으로 오는 11일 예정인 경선을 코앞에 둔 시점에 열려 시작부터 치열한 공방이 예상됐다.
 
토론 초반부에서는 현안을 반영, 경기도의 안전 확보를 위한 각 후보들의 정책 제시가 이어졌다.
 
김상곤 후보는 "관피아(관료+마피아), 부패 구조를 해체하겠다"며 "조직위원관리제도를 도입하고 안전 부지사를 둘 것"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는 이를 통해 "위험에 대한 알 권리를 보장하고 재난 상황시 일원화된 지휘 체계를 갖추겠다"고 덧붙였다.
 
원혜영 후보는 "이명박·박근혜 정구권의 시장만능주의, 신자유주의 국정기조"를 세월호 참사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하고 "관료 지배체제의 종식을 이루고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질적인 안전교육을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김진표 후보는 "도지사가 안전 관리를 총책임지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고 취임 6개월 이내에 위험시설에 대한 완벽한 대비책을 강구하는 한편 대형 재난과 범죄로부터 안전한 경기도를 위해 셉티드(범죄예방 목적의 도시디자인) 시스템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어진 자유토론에서는 각 후보자들의 안전 대책과 관련한 질의응답이 이뤄졌다.
 
원혜영 후보는 김진표 후보에게 "가장 먼저 안전대책을 발표했지만 11쪽이나 되는 대책 중에 관료 시스템에 대한 지적과 대책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진표 후보는 "전문가와 시민사회, 국민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관료제를) 개혁하겠지만 이 개혁이 관료 전체의 사기를 꺾는 사과나무를 해치는 식이 아닌 썩은 부분을 도려내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답했다.
 
원혜영 후보는 또 김상곤 후보에 "지난해 경기교육청의 재난 안전 교육 예산이 1300만원이었다"며 문제를 제기했지만 김 후보는 "종합적인 안전교육 관련 예산은 226억원이었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는 "1300만원은 안전교육 메뉴얼은 만드는 데 쓰인 비용"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지사 선거의 최대 화두였던 버스 공영제 관련 토론도 펼쳐졌다.
 
김진표 후보는 "대중교통의 공공성 강화에는 완전히 공함하지만 원혜영 후보가 주장하는 버스 공영제에는 재정 부담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기도는 재정 적자가 3조4000억 달하고 16개 시·도 중 가장 꼴찌"라는 현실을 상기시켰다.  
 
답변에 나선 원혜영 후보는 "바로 그래서 방치한 노선, 중단한 노선부터 하는 점진적·단계적 공영제를 이야기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른바 '무상버스' 논란의 당사자였던 김상곤 후보는 "저는 전면 무상버스를 주장하지 않았고 취약계층부터 단계적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며 자신이 제안한 버스 관련 정책의 진의를 다시 한 번 설명했다.
 
그는 또 "경기도민 70~80%가 무상버스의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답했다"고 지적한 김진표 후보의 질문에 "취약계층에 제공하는 것을 알기도 전에 새누리당과 보수언론이 집중적으로 공격한 상태에서 조사한 것이라 지금은 다를 수 있다"고 반박했다.
 
김진표 후보는 재경부 장관 재임 당시 있었던 '론스타-외환은행 매각 공론화', '규제완화' 등에 대한 상대 후보들의 질의에 "제1주주였던 크메르츠 뱅크의 매각 의사 등을 외신에 설명한 것이 (국내에서) 일방적으로 오해된 것임이 밝혀졌다", "시장의 안전성을 지키는 것은 강화할 것이며 합리적인 정비를 주장한 것이다"라고 각각 설명했다.
 
대립각을 세우던 세 후보는 경기 북부 지역의 발전을 위한 지원 확대에는 입을 모았다.
 
원혜영 후보는 "경기 북부의 분도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고, 김상곤 후보는 이 지역을 '평화특별자치도'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김진표 후보도 경기 북부가 2중, 3중 피해를 입어왔다고 공감하며 "경기 북부를 기회의 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오는 11일 안양실내체육관에서 공론조사와 현장투표를 실시하고 경기지사 선거 본선 후보자를 선출할 예정이다.
 
◇ 새정치연합 경기지사 후보 경선 토론 ⓒNews1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한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