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들어 공기업 여성인력 더 줄었다
30대 공기업 여성임원 단 2명…올해 채용 0명도 11곳
입력 : 2015-12-02 09:51:47 수정 : 2015-12-02 09:51:47
[뉴스토마토 임애신기자] 박근혜 정부 들어 공기업 여성 임원을 30%로 높이겠다는 법률 개정안이 나왔지만, 실제 공기업들의 신규 채용과 승진에서는 여성 홀대가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30개 공기업의 여성 임원 수가 단 2명에 불과하고 올 들어 여성 직원을 단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 곳이 11곳에 달했다.
 
2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2012년부터 올해 9월말까지 시장형·준시장형 30개 공기업의 여성 신규 채용 및 승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신규 채용 인원 2501명 중 여직원은 490명(19.6%)으로 20%에도 못 미쳤다.
 
 
 
이는 현 정부 출범 직전인 2012년도보다 5%포인트 이상 낮은 수치다. 2012년에는 전체 신규 채용 인원 4272명 중 여직원이 1069명으로 25.0%를 차지했다.
 
여성을 단 한 명도 채용하지 않은 공기업은 한국동서발전, 울산항만공사, 대한석탄공사, 한국감정원, 한국조폐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인천항만공사, 한국관광공사, 부산항만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등 11곳이다. 한국철도공사는 9월까지 신규 채용을 전혀 하지 않았다.
 
나머지 공기업들은 여성 인력을 채용하긴 했지만 그 비중이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가스공사는 올해 채용한 49명 중 여성이 2명(4.1%) 뿐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는 10명 중 1명(10.0%)을 채용했고 한국서부발전(12.3%), 한국중부발전·한국남부발전(14.5%), 한국수력원자력(16.0%), 한국도로공사(17.6%), 한국수자원공사·한국남동발전(18.2%), 한국지역난방공사(23.4%), 한국전력공사(24.5%), 여수광양항만공사(25.0%), 한국공항공사·해양환경관리공단(27.3%)이 뒤를 이었다.
 
이에 반해 여성 인력 채용에 적극적인 곳도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석유공사는 여성 채용 비중이 50%를 넘었고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42.9%), 한국마사회(39.2%), 주택도시보증공사(39.0%)도 30%를 넘었다.
 
여성들에게는 채용보다 더 높은 문턱이 승진의 벽이다. 간부직으로 올라갈수록 여성 비중이 급감했다. 총 148명의 임원 중 여성은 한국광물자원공사 홍표근 상임감사위원과 한국철도공사 최연혜 사장 2명(1.3%)에 그쳤다.
 
사원급(5~7급)에서는 여직원 비중이 21.3%였지만 과장급(3~4급)으로 올라가면 9.7%로 반토막 이하로 줄고 다시 부장급(1~2급)으로 올라가면 1.2%로 급감했다.
 
부장급 여성 직원이 전무한 곳도 여수광양항만공사,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마사회, 해양환경관리공단, 인천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 한국조폐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등 10곳에 달했다.
 
한국전력공사는 부장급 1412명 중 여성이 2명(0.1%)에 불과했고 한국수력원자력도 770명 중 2명으로 0.3%에 그쳤다. 한국도로공사·한국중부발전(0.5%), 한국남동발전·한국서부발전(0.6%), 한국석유공사·한국토지주택공사(1.0%), 한국감정원(1.5%), 한국수자원공사(1.6%)도 2% 미만이었다.
 
반면 한국관광공사는 9.7%로 비교적 높았다. 부장급 93명 중 9명이 여성이었다. 이어 부산항만공사(6.1%), 대한석탄공사(5.2%)가 5%를 넘겼고 한국광물자원공사(4.8%),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4.3%), 인천국제공항공사(3.9%), 한국공항공사(3.4%), 한국철도공사(3.1%), 한국지역난방공사(2.6%) 순이었다.
  
임애신 기자 vamos@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임애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