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서울 학생, 전교생 3% 확진 전까진 정상등교
교육부 지침 반영해 내용 구체화
등교중지 비율 15% 때도 정상등교 중단 가능
방역인력·예산 확대…유·초등 키트 7주간 지원
입력 : 2022-02-15 11:23:23 수정 : 2022-02-15 16:47:19
 
[뉴스토마토 김지영 기자] 서울시교육청이 교육부의 지침을 이어받아 전교생 3% 확진과 등교중지 비율 15% 내외를 정상등교 지표로 삼는다. 아울러 유·초등학생에겐 신속항원검사 키트 7주분을 제공하고 학교 방역 인력과 예산도 늘린다는 방침이다.
 
서울시교육청은 15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2022학년도 1학기 학사운영방안'을 발표했다.
 
학사운영은 4유형으로 나누고 확진자 비율에 따라 학교 재량으로 선택한다. 유형은 △정상교육활동 △전체등교+교육활동 제한 △일부등교+일부원격수업 △전면 원격수업으로 나눴다. 기준 지표는 전교생 확진 비율 3%, 학년 또는 학급 내 등교중지(확진+격리) 비율이 15% 내외일 때다. 교육부는 앞서 등교중지 학생 비율을 전교생 기준으로 제시했는데 서울시교육청은 학급·학년으로 정했다는 점이 다르다.
 
확진율이나 등교중지 비율 지표 중 1개 이상이 해당하면 학교는 정상등교를 멈출 수 있다. 교내 집단감염이나 학교감염 같은 위급 상황 시 전면 원격수업도 할 수 있다. 어떤 유형을 선택할지는 학교 여건과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적용하면 된다.
 
유치원과 초 1~2학년, 특수학교, 돌봄, 소규모학교는 매일 등교가 원칙이다. 등교가 불안한 초등학생의 경우 최대 38일까지 가정학습을 할 수 있다.
 
아울러 학교에 필요한 방역인력과 예산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학교별로 학생 수에 따라 2~6명씩 총 8015명의 방역인력을 배치한다. 학교급식 방역인력도 2892명 추가한다. 학교별로 연간 8회에 걸쳐 방역소독비 40억원, 학급별 연간 10만원의 방역물품비(42억원)도 지원한다.
 
서울시교육청이 15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2022학년도 1학기 학사운영방안'을 발표했다. 사진/뉴시스
 
변화한 학교방역과 검사체계로 인한 혼란과 부담을 줄이기 위해 보건 지원강사도 배치한다. 아울러 본청과 학교보건진흥원, 11개 교육지원청에서 학교 자체 조사 등 방역관련 상담 서비스를 지원하는 긴급대응팀도 운영한다.
 
감염 검사가 더 쉬워지도록 신속항원검사와 현장이동식 PCR(유전자증폭) 등 다중검사 체계도 구축했다. 등교 전 선제검사용 자가검사키트는 유치원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7주간 주 2회분씩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학생들이 집단생활을 하는 기숙사 학교나 대면활동이 불가피한 예·체능계열 학교에는 검체 채취부터 검사결과 통보까지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신속 PCR 검사를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 학생 확진자는 최근 들어 급증하는 추세다. 지난 7일부터 13일까지 서울 학생 확진자는 전주보다 2배 이상 증가한 5764명이다. 학교급별로 보면 고등학교 1·2학년의 1만명 당 확진자 발생률이 85.8명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초등학교(80.8명), 유치원(51.3명), 중학교(30.5명), 고등학교 3학년(30.2명) 순이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매년 3월 새 학기는 우리 학생들이 새로운 시작에 대한 설렘과 기대를 갖는 시기"라며 "서울시교육청은 우리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 속에서 소중한 일상을 되찾고, 저마다의 재능과 꿈을 키우는 든든한 울타리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wldud91422@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김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