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홀로 방치된 '고독사 위험군'…152만명·50대 '가장 위험'
1인 가구 기준, 5가구 중 1가구 이상 '위험군'
고독사 위험은 중장년이 더 커…경제적 문제 39.1%
"2027년까지 고독사 20% 줄이겠다"
입력 : 2023-05-18 13:52:55 수정 : 2023-05-18 19:19:22
 
 
[뉴스토마토 주혜린 기자] 쓸쓸히 홀로 생을 마감하고 뒤늦게 발견되는 '고독사'의 위험군이 152만명 규모라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특히 고독사 위험은 50대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건강관리와 가사노동에 익숙지 않은 중장년층이 실직·이혼 등으로 삶의 만족도가 급격히 감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8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제1차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2023~2027년)'의 고독사 위험군 설문조사(지난해 11∼12월 1인 가구 9471명 대상) 결과를 보면 국내 고독사 위험군 수는 현재 약 152만5000명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전체 인구의 3%, 1인 가구의 21.3%입니다.
 
연령대 별로 보면, 50대가 37만3000명, 60대가 35만5000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독사'는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혼자 임종을 맞고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발견되는 죽음을 가리킵니다.
 
고독사 위험군 증가는 지난 2017년 28.6%였던 1인 가구 비중이 2021년 33.4%까지 늘어난 데다, 사회관계망이 약화한 탓으로 풀이됩니다.
 
지난해 정부가 최초로 실시한 고독사 실태조사에서는 고독사 사망자가 총 3378명으로 2017년 2412명 대비 966명 늘었습니다. 비중으로는 40% 가량 증가한 수준입니다.
 
지난해의 경우 전체 사망자 31만7680명 중 고독사가 차지하는 비율은 1.1%에 달했습니다. 사망자 100명 중 1명 이상이 쓸쓸한 죽음을 맞은 셈입니다.
 
2021년 고독사 사망자 중 50~60대 중장년 남성이 52.8%를 차지했습니다. 20~30대의 비중은 6.3%~8.4%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자살사망 비율의 경우 20대 56.6%, 30대가 40.2%로 매우 높습니다.
 
20~30대 청년의 경우 정서 불안과 경제적 문제가, 40~60대 중년층의 경우 경제적 문제와 사회적 관계가 가장 큰 원인으로 조사됐습니다. 70대 이상 노인층의 경우 건강 문제와 정서 불안이 가장 큰 어려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가 고독사 예방 게이트키퍼(자살예방 생명지킴이)를 양성해 고위험군을 사전 발굴하기로 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이에 따라 복지부는 기본계획을 통해 2021년 기준 전체 사망자 100명당 1.06명꼴인 고독사를 2027년까지 0.85명으로 줄일 계획입니다. 전체의 20%를 줄이는 것이 목표입니다.
 
특히 고독사 위험군을 찾아내는 것부터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이·통·반장 등 지역 주민이나 부동산중개업소와 같은 지역밀착형 상점이 '고독사 예방 게이트키퍼'로 양성됩니다. 가칭은 '우리마을지킴이'로 고독사 예방 생명지킴입니다. 
 
복지부의 자살예방 교육을 받은 '게이트키퍼'는 자살 위험 대상자를 조기에 발견해 자살예방센터나 전문기관에 연계합니다. 
 
또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을 연계해 고독사 취약 지역을 대상으로 위험군 발굴조사를 실시합니다. 고독사 위험군의 특성을 반영한 위기정보 및 발굴모형도 개발합니다.
 
중앙·지역 사회적 고립 예방·지원센터를 지정하고 현재 978명인 통합사례관리사 인력도 단계적으로 증원합니다. 고독사 실태파악 주기도 현행 5년에서 1년으로 단축해 매년 사망자 현황과 위험군의 서비스 욕구 등을 파악하기로 했습니다.
 
244개 지역별 가족센터를 활용해 1인 가구 대상 소통·교류·자조모임 등 사회관계망 형성도 도울 계획입니다. 다세대 주택 및 고시원 밀집 지역, 영구 임대아파트 등 고독사 취약 지역 내 공동체 공간도 마련합니다.
 
인공지능(AI)이 고독사 위험군의 전력사용 데이터를 분석해 전력사용이 급감할 경우 위기를 감지해 안부를 확인하게 하는 방식도 활용할 계획입니다.
 
 
실태조사 결과 드러난 연령대별 고독사 특성을 바탕으로 생애주기별 차별화 지원도 제공합니다.
 
청년의 경우 고독사 중 자살 비율이 높다는 점을 고려해 정신건강검진 주기 단축(10→2년) 등 정신건강관리와 취업 지원에 주력합니다.
 
고독사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장년층에 대해선 만성질환 관리와 돌봄, 병원 동행, 정서 지원 등 생활지원 서비스를 마련할 계획입니다. 조기퇴직 중·장년을 위한 재취업 프로그램 등도 가동합니다.
 
노인 위험군을 대상으로는 방문의료 서비스 확대, 노인들간 상호돌봄을 위한 노노케어, 사전 장례 지원 등을 제공합니다. 
 
사망 후 시신 인수자가 없는 고독사 사망자에 대해선 공영장례도 확대합니다. 현재 39개 시군구에서 추진 중인 고독사 예방·관리 시범사업은 2027년까지 229곳으로 확대할 방침입니다.
 
이기일 복지부 제1차관은 "1인 가구 중심의 가족구조 변화, 개인주의 문화 확산, 감염병 재난 장기화 등에 따라 사회적 고립·단절이 심화하고 있다"며 "고독사는 사회적인 경각심 제고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차관은 "이번 기본계획은 임종 순간까지 인간의 존엄을 보장하기 위한 고독사 예방 첫 기본계획"이라며 "주변과 단절된 채 혼자서 임종 맞지 않도록 빠르게 발견하고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정부가 고독사 예방 게이트키퍼(자살예방 생명지킴이)를 양성해 고위험군을 사전 발굴하기로 했습니다. 사진은 고독사 예방을 위한 '사람사이 우체통' 모습. (사진=뉴시스)
 
세종=주혜린 기자 joojoosky@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주혜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