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서울-경기의 정치적 이질화
입력 : 2024-02-13 06:00:00 수정 : 2024-02-13 06:00:00
서울 표심이 이번 총선에서도 인접한 경기도와 상반될지 관심이다. 2021년 이후 세 번의 주요 선거에서 서울시민은 보수를 택했다(‘21년 서울시장재보선, ‘22년 대선과 지방선거). 대선에서 민주당 후보가 서울에서 국민의힘 계열 후보에게 진 것은 ‘07년 정동영 이후 이재명이 처음이다. 문재인이 승리한 ‘17년 대선은 물론, 박근혜가 당선된 ‘12년 대선에서도 서울에서는 민주당 후보가 이겼다. 반면 ‘22년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경기도는 서울과 달리 민주당이 이겼다. 서울과 경기도의 표심이 이번에도 다르다면, ‘수도권’이라는 전통적 통칭이 깨진다고 볼 수 있다. 
 
최근 여론조사(갤럽 1월 23~25일 조사)를 보면, 서울의 윤석열 대통령 부정평가가 전국 최고수준(64%. 호남 제외)이지만, 민주당 지지율은 31%로 전국평균 35%보다 4%p 낮다. 이재명 지사 시절 영향력도 작용했을 터인데, 경기는 민주당지지율이 국민의힘보다 높다(전국 유권자의 국민의힘 지지율은 36%, 민주당 지지율은 35%로 근접). “4월 총선에서 어느 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서울 유권자의 32%는 국민의힘, 31%는 민주당이라고 답했다. 반대로 경기도는 민주당을 택한 응답이 많다.
 
‘제3지대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고 답한 서울 유권자는 29%로, 전국 평균 24%에 비해 5%p나 높다. 그만큼 양당체제에 대한 문제의식이 크다는 걸 엿볼 수 있다. “구슬이 서 말이어도 꿰어야 보배”라는 속담이 있다. 서울 유권자의 무려 29%가 ‘신당 후보가 많이 당선되기’를 바랄 정도로 신당 기대치가 높지만, 아직 이를 구현할 후보를 구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정당득표율과 의석수는 이번 총선에서도 상당히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이 점이 소선거구제의 가장 큰 문제이자 표심 왜곡이다. 어느 정당이 전국적으로 15%를 얻었다고 치자. 그럼 의석도 15%를 갖는 게 가장 정확하고 이상적이고 공정하다. 그러나 거기에 근접한 선거제를 실시해본 적이 없다).
 
“최악의 경우 서울 6석”이라는 지난 연말 국민의힘의 내부보고서는 엄살이나 지지자 결집용만은 아니다. 한동훈 투입 이후 여러 수치는 제법 변하고 있지만, 한동훈 효과가 실제 국민의힘 당선자 증가로까지 이어질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반면, 서울의 민주당 지지율은 영남을 제외하면 전국 최저지만, 의석확보율은 그 반대로 전국 최고일 것이다. 왜냐하면, “신당이 많이 되기를 바란다”는 응답이 29%나 되지만, 당선가능성은 여전히 민주당을 꼽고 있기 때문이다. 유권자 다수는 ‘신당에 마땅한 사람이 없다’고 느끼는 것이다. ‘신당후보 당선희망’ 29%는 희망과 현실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수치다. 
 
서울과 경기의 정치적 이질화는 여러 연구과제와 논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른 걱정이겠지만, 서울-경기의 정치적 온도 차나 이해관계가 선거를 통해 해소되지 못하고 일종의 진영 정서나 블록으로 고착해 대립한다면, 통합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두 곳은 인구 절반의 밀집지이자 국가경제의 핵이며 동일생활권이어서 분리될 수 없는 한 몸이다. 동서 간 차이와 대립이 국민통합의 큰 숙제인 것처럼, 서울-경기가 특정 정당 호오 정서로 굳어지고 사회경제적 대립으로 이어진다면 심각한 문제다. 선거는 싸움이 아니라 통합으로 가는 최대의 민주 축제다. 정치권과 정부는 통합 차원의 정치적 해법과 정책을 내놓고 유권자 응답을 받아야 한다. 그게 수권 능력의 확인이다. 이번 총선이 그 숙제를 확인하는 시험대가 될지 관심이다.
 
이강윤 정치평론가-전 한국사회여론연구소장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권순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