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PF발 위기설 연말·내년 초 정리될 것"
"부동산 PF 구조조정, 경공매 필수 아냐"
입력 : 2024-06-04 18:20:00 수정 : 2024-06-04 18:20:00
[뉴스토마토 윤민영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과 관련해 매달 위기설이 불거지고 있는 것에 대해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정리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원장은 4일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매달 거론되는 이른바 'n월 위기설'에 대해서는 "시장에서 봤을 때 무엇인가 위험 촉발 요인이 있다는 것"이라며 "과도한 중복 투자나 특정 자산으로의 쏠림 등이 고유동성 상황에서 있었던 것에 대해 부인할 수 없다"고 진단했습니다.
 
이 원장은 "레고랜드 사태, 흥국생명 사태 등 대중적인 것들에 대한 대응은 해왔지만, 근원적인 처방이 없었다는 인식이 국민들께는 있었을 것"이라며 "최근에 발표한 부동산 PF 정상화 방안이나 대체투자와 관련된 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진행 중이며 올해 말이나 내년 초가 되면 정리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부동산 PF 사업장 구조조정이 경공매 방식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경공매가 아니라도 다른 방법이 있다면 어떻게 해도 상관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대부분 경우에는 예상 손실을 반영하더라도 손익이 나빠지는 것이고 존속의 문제는 아니지만, 경영진 입장에서는 성과의 문제가 된다"며 "정확한 숫자를 반영해 다른 방법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경공매가 아니더라도 NPL(부실채권)을 파는 등 어떻게든 해도 상관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2022년 말에 부동산 시장이 생각보다 크게 출렁거렸기 때문에 업권의 자발적인 참여 내지는 의사결정을 유도해왔다"며 "오랜 기간 정상화 사업으로 못 넘어가고 있거나 원가 상승 등으로 사업 계획 달성이 불가능하다면 점검을 해서 문제가 있을 경우 충당금을 쌓는 등 낮은 가격이라도 자금 회수가 벌어졌으면 하는 기대가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러나 지난해 연말 결산 상황을 보면 지금 금융회사나 CEO의 선의를 믿는게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구조조정을 추진하다 보니 경공매나 추가 충당금이 강조됐다"며 "정확한 숫자가 반영이 안 된 현 상태는 더 이상 용인하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금융사 지배구조 개편에 대해서는 "무슨 제도가 일도양단으로 엄청난 결론을 낼 거라고 생각을 하지 않는다"며 "당국이 할 수 있는 건 그나마 금융회사가 공정하게, 필요한 인재를 뽑을 수 있게 기준을 만들는 기준을 만들도록 하고 실제로 운영하는 사람들이 바뀌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현재 거래소에서 하는 밸류업 공시, 지수 개발 등 좁은 의미의 밸류업"이라며 "큰 틀에서는 정부 출범 이후 일관되게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을 추진해왔고 지금 정부가 있는 3년 동안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4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취임 2주년 출입기자단 오찬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감독원)
 
윤민영 기자 min0@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윤민영

싱싱한 정보와 살아있는 뉴스를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