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백신’ 자급능력 키운다!
식약청, 2017년까지 10종→22종 확대 계획
입력 : 2012-06-14 14:30:01 수정 : 2012-06-14 14:30:39
[뉴스토마토 조필현기자] 정부가 국내 백신 자급능력을 키우기 위해 본격 나선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14일 국내 주요 백신 27종 중 10종에 머물러 있는 국내 생산 백신을 오는 2017년까지 22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요 백신 27종은 ▲필수예방접종백신으로 지정된 12종 ▲기타예방백신 11종 ▲대유행이나 대테러 백신 4종으로 구분된다.
 
지난해 국내 시장에 공급된 백신은 총 4900만 도즈로, 이 가운데 45%인 2200만 도즈 만이 국내에서 생산됐다.
 
국내 생산 주요 백신은 인플루엔자 백신(1000만 도즈), B형간염백신(420만 도즈), 일본뇌염 백신(150만 도즈) 등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필수예방접종백신, 기타예방접종백신, 대유행 및 대테러 예방백신 등을 순차적으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먼저 필수예방접종백신은 총 12종이 있는데, 이중 현재 6종만이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다. 정부는 2015년 9종, 2017년까지 11종으로 늘릴 계획이다.
 
필수예방백신은 수두, 장티푸스, B형간염 등 국가에서 예산을 투입해 접종을 권장하는 것을 말한다.
 
기타예방접종백신은 총 11종이 있는데, 3종만이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다. 2015년 4종, 2017년까지 모두 7종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타예방접종백신은 A형간염, 폐렴구균 등 필수예방접종 외의 백신으로 개별 경비로 접종을 받는다.
 
감염병의 대유행이나 대테러 등을 대비한 백신은 현재 총 4종인데, 1종만이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다. 2017년까지 4종을 생산할 방침이다.
 
현재 국내 제약사들이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거나 자체 기술개발 중인 백신은 13종 19품목이다.
 
식약청 관계자는 “백신개발 지원을 위해 국내 제약사들과 협의체를 구성해 백신제조소 신축, 이전시 필요한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며 “백신개발부터 허가까지 전 과정에 걸친 맞춤형 컨설팅을 진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조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