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식품이물 2007건..'벌레·곰팡이' 가장 많아
입력 : 2012-08-08 16:00:36 수정 : 2012-08-08 16:01:40
[뉴스토마토 최승근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식품업체의 이물 보고 의무화 제도가 시행된 2010년도 이후 식품 이물 발생 건수가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고 8일 밝혔다.
 
식약청에 따르면 올 상반기 보고된 식품 이물 발생 건수는 총 200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9%가 감소했으며, 이물 보고 의무화 첫해인 2010년에 비해서는 약 44% 줄었다.
 
올 상반기 보고된 이물 발생건수 중 조사가 완료된 1756건의 이물 혼입원인을 분석한 결과 ▲소비·유통단계 180건 ▲제조단계 133건 ▲이물 분실·훼손, 조사 거부 등에 따른 조사 불가 364건 ▲기타 1079건으로 나타났다.
 
소비·유통단계에서는 이물 발생건수의 86%(155건)가 벌레와 곰팡이로 나타났으며, 개봉 후 일정기간 섭취하는 시리얼류, 특수용도식품, 초콜릿류, 음료류 등의 순으로 혼입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단계에 많이 혼입된 이물의 종류는 곰팡이(18.0%), 금속(16.5%), 벌레(12.0%), 플라스틱(12.0%), 유리(2.3%) 순으로 주로 조미김, 건포류, 김치류, 빵·떡류 등에서 혼입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식약청 관계자는 "지난해 9월부터 대기업을 멘토로 하는 '이물관리 협력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후 중소기업의 제조단계 이물 혼입률이 감소(20.6%→14.1%)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최승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