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겨울철 노숙인 24시간 지원체계 가동
응급잠자리 220→430곳 확대, 1인용, 가족용, 여성전용 등 맞춤형 제공
입력 : 2012-11-14 13:53:50 수정 : 2012-11-14 13:55:36
[뉴스토마토 조정훈기자] 서울시가 내년 3월15일까지 '겨울철 노숙인 특별보호대책'을 24시간 가동하기로했다.
 
14일 시에 따르면 현재 시가 파악하고 있는 노숙인은 총 4340명으로 지난 9월 기준 13%인 576명이 거리 노숙인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숙 인을 위한 24시간 응급구호 시스템과 노숙인 위기대응 통합콜(1600-9582)을 가동, 겨울철 노숙인 사고에 즉각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노숙인 종합 지원센터와 현장상담소 7곳도 24시간 운영한다.
 
올해 특별 보호대책은 24시간 응급구호, 응급잠자리 확대, 민관 협력강화, 맞춤형 거리탈출지원 등 총 4개 분야 14개 사업이다.
 
시는 전화 한 통만 하면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거나 상담, 시설연계 등을 바로 지원받을 수 있는 24시간 노숙인 위기대응 통합 콜(1600-9582)을 전국 최초로 개설한다.
 
특히 거리상담반을 80여명으로 확대, 활동지역을 서울 전역으로 확대한다. 이들은 순찰을 돌며 침낭 등 구호물품을 제공할 예정이며, 정신과 전문의로 꾸려진 2개 팀은 거리 노숙 인을 직접 찾아 상담을 진행한다.
 
지난해 운영한 '응급잠자리'는 응급대피소', '응급쪽방', '단체 응급 구호 방'으로 세분화 했다. 지난해 220곳에서 올해 430곳으로 확대, 운영한다.
 
'응급대피소'는 서울역에서만 80명이 이용 가능했던 것을 120명까지 보호할 수 있도록 온돌마루를 확장, 올해 영등포 지역 1개소를 추가해 총 2개소 230명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결핵, 정신질환 등 공동생활이 어려운 거리 노숙 인들을 위해 지난해 10개실로 운영했던 '응급쪽방'은 올해 1인용 60개실, 2~3인 가족용 10개실 등 총 70개실로 확대했다.
 
노숙인시설의 기존 프로그램 실, 식당 등 공간을 활용해 제공하는 '단체 응급 구호 방'은 4개 시설에서 130명이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서울역 희망지원센터 응급 구호 방은 30명 정원의 여성전용으로 운영된다.
 
시는 노숙인 자활을 돕기 위해 탈 노숙을 조건으로 800명에게 청소와 거리상담 활동 보조 등 '특별자활사업' 일자리를 제공한다. 이들은 6개월간 월 43만7000원을 받으며 근무하게 된다.
 
또 자활의지가 강한 거리노숙인 55명에게는 월 5~10만원을 내고 최대 1년간 지낼 수 있는 '희망원룸'을 제공한다. 희망원룸은 고시원 2곳에서 위탁 운영되며 운영비용은 시가 지원한다.
 
이밖에 거리생활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여성 노숙 인을 위해 50여명 규모의 '여성노숙인 재활시설'를 다음 달 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김경호 서울시 복지건강실장은 "다양한 형태의 노숙 인을 맞춤형으로 지원하도록 배려하고 나아가 자립과 자활을 도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노숙위기에 놓인 시민은 누구나 서울시립 다시서기 종합 지원센터(http://www.homelesskr.org)와 서울시립 브릿지 종합지원센터(http://www.dropin.or.kr)에서 사이버 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조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