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일자리, 주변화 우려 크다"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 해결이 숙제"
"고령자 건간은 개인의 문제 아닌 사회 공동의 관심사"
입력 : 2013-05-31 10:54:40 수정 : 2013-05-31 10:57:24
[뉴스토마토 서지명기자] 고령자들의 일자리가 단순노무직이나 농·축산에 국한될 경우 고령자 노동이 주변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31일 서울 명동 세종호텔에서 열린 제3차 인구·고령화 포럼에서 주제발표 뒤에 이어진토론에서 정순돌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일자리의 세대간 갈등문제가 아직 가시화안됐고 청년층과 노년층 일자리가 보완관계일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우려감이 있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중·고령층이 하고 싶은 일과 할 수 있는 일에 차이가 있다"며 "노인들의 일자리를 단순 노무직이나 농·축산업과 같은 1차산업에 국한시키면 고령자 노동이 주변화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에서 예산을 투입해 중·장년층에 제공하는 일자리가 형태는 비슷한데 이름만 다르게 해서 지원되는 경우가 많다"며 "실제로 중·장년층에 필요한 일자리 종류가 무엇인지에 대해 좀 더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임금피크제 역시 우리나라 문화상 맞지 않다는 평가가 있다"며 "정년연장과 임금피크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가 숙제"라고 설명했다.
 
또 "연령과 관련된 제한이 철폐돼야 한다"며 "생애주기에 대한 고정관념이 유연화되고 청년층과 고령층이 연대의식 갖고 서로 사회통합적으로 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동운 한양대 의과대학 교수는 "건강한 노후를 위한 정책 보완이 필요하다"며 선진국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중인 작은 도움(JRF older people's inquiry in 2006)프로젝트를 사례로 들었다. 작은 도움은 봉사단체나 기업들과 연계해 고령자들에게 쾌적한 주거환경, 건강한 삶에 필요한 실질적 작은 지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한 교수는 "선진국의 경우 고령자의 건강문제를 개인이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해결해야 할 공동의 관심사로 외연을 확대함으로써 사회적 지지를 이끌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고령자 건강정책을 세우고 실행하는 데 고령자계층이 중심이 되고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31일 서울 명동 세종호텔에서 열린 제3차 인구·고령화 포럼에서 참여자들이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정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 김용준 한국경제신문 기자, 박기출 삼성생명 은퇴연구소장, 김병섭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정순돌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한동운 한양대 의대 교수.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서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