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논란 인사로만 짠 재보선 라인업
서청원 '비리 전력', 박명재 '철새 이미지'
입력 : 2013-10-07 18:01:59 수정 : 2013-10-07 18:05:46
[뉴스토마토 장성욱기자] 새누리당이 7일, 10.30 재·보궐선거 공천을 확정했지만 뒷말이 무성하다.
 
화성 갑 후보로 선정된 서청원 전 대표는 '비리'라는 꼬리 표가 따라붙는다. 그는 지난 2004년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유죄를 선고받았고, 2008년에는 특별당비를 받은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한 바 있다.
 
서 후보 측은 '정치적 보복'을 주장하고 있지만, '비리 이미지'가 더 큰 것이 사실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최근 서 전 대표의 아들인 서 모 씨가 국무총리실 4급 서기관으로 특채된 것이 도마에 올랐다. 한 마디로 '낙하산' 논란이다. 이번에도 서 후보 측은 문제 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일반 대중의 잣대로는 쉽게 이해가 가지 않는다.
 
포항남구·울릉 후보인 박명재 전 행정자치부 장관 역시 당적을 옮겨 '철새' 라는 오명을 얻고 있다. 더욱이 그는 최근 논란인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폐기와 관련해 참여 정부 시절 청와대 탓을 해 야당의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이처럼 새누리당이 '비리'와 '철새'라는 논란을 가진 후보의 공천을 감행한 이유는 무엇일까?
  
◇왼쪽부터(서청원 전 대표, 박명재 전 장관)
 
홍문종 새누리당 공천심사위원회위원장은 서 후보의 공천 이유로 "서 전 대표 같은 유력한 정치인이 지역 일꾼으로 선출돼 지역 문제를 해결해주길 기대하는 목소리가 점차 성숙됐다"면서 "지역의 기대에 부응하고 민심에 가장 근접한 후보이자 당선 가능성 가장 유력한 후보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화성 갑에 거물급 정치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각종 여론 조사에서 서청원 후보의 경쟁력이 앞선 것은 사실이다. 더욱이 지난 대선 때 화성 갑 지역에서 박근혜 당시 후보는 7만2899표를 얻어 55.8%를 얻었고, 문재인 후보는 5만7285표로, 43.8%를 획득했다. 확실한 여당 표밭이다. 화성 갑은 지난 세 차례의 총선에서 모두 새누리당 의원을 배출했다.
 
이러한 사실은 서청원 후보가 화성 갑에 꼭 필요한 적임자는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지역 연고를 고려했을 때 서 후보는 지역밀착과는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서 후보가 공천을 받았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의혹으로 제기됐던 '청와대 개입설'이 끊임없이 흘러나오는 이유다.
 
정치권에서는 서 후보가 국회에 입성하면 서청원(국회)-김기춘(청와대)-홍사덕(민화협)의 삼각 커넥션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박 대통령이 이들을 통해 대내외적인 영향력을 강화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새누리 내에서도 서 후보의 공천이 결정되기 전 재선 및 초선 의원을 중심으로 반발이 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연대 행위를 할 것을 예고했으나 실제 행동으로 나서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이들의 집단 행위는 지도부가 주장한 '만장 일치'와는 괴리가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포항남구·울릉 후보로 확정된 박명재 전 장관에 대해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참여 정부 시절 마지막 행정자치부 장관을 역임한 박명재 전 후보는 지난 2006년 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경북도지사에 나간 이력이 있다. 그리고 지난 19대 총선 때 포항남구·울릉 지역에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즉 당적을 바꿔 포항에 재도전 하는 것이다.
 
박명재 후보는 최근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이관과 관련해 "대통령기록물의 봉하 마을 유출을 반대했지만 당시 청와대(참여 정부 시절)측이 강행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민주당은 "배은망덕한 인사의 전형이자 정치 철새인"이라고 박 후보를 했다. 그러면서 "그가 왜 그토록 새누리당에 용비어천가를 써댄 이유가 무엇인지 이번 공천으로 확연해졌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에서는 새누리당이 막판까지 포항 공천을 놓고 고민한 만큼 박 후보의 발언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고 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장성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