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민간회복 약해..엔화약세 등 대외 위험요인 여전"
입력 : 2014-03-11 10:00:00 수정 : 2014-03-11 10:00:00
[뉴스토마토 박진아기자] 정부가 최근 우리 경제에 대해 회복조짐이 점차 강화되고 있으나 투자 등 민간부문 회복세는 아직 견고하지 않은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또 미국 양적완화 리스크, 신흥국 불안, 엔화약세 등 대외 위험요인도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지난달과 다르지 않은 인식이다.
 
기획재정부는 11일 '최근 경제동향 3월호'를 펴내고 "최근 우리 경제는 고용·물가 안정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 공공행정 등 전분야의 생산이 증가한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최근 고용시장은 전월에 비해 취업자 증가폭이 확대된 모습이다. 1월 취업자 증가 규모는 전년동월대비 70만5000명 증가했다.
 
소비자물가도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따.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1.0%를 기록, 전월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광공업 생산은 1월에 휴대폰, 자동차를 중심으로 전달보다 0.1% 증가했으며 서비스업 생산도 설효과 등으로 도소매, 숙박·음식업이 늘어 0.9% 증가했다.
 
소비도 늘어 경기회복세에 힘을 실었다. 1월 소매판매는 개별소비세 인하에 따른 자동차 판매증가 등으로 지난 2011년 3월 이후 34개월 만에 최대로 증가했다.
 
다만 설비투자는 1월에 투자준비를 위한 연초효과 등으로 조정을 받는 모습이나 건설기성은 9.7% 증가하며 2011년 12월 이후 25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출은 2월에 유럽연합(EU), 아세안 및 IT제품 수출호조로 전년동월대비 1.6% 증가하는 등 증가세를 이어갔다. 수출입차도 9억3000만달러로 흑자를 지속했다.
 
주택시장은 매매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전세가격은 '전세→월세 전환' 등으로 상승세가 지속되나 증가폭은 둔화된 모습이다.
 
반면에 국내 금융시장은 미국 양적완화 축소와 신흥국 불안, 주요국 경제지표 개선 등에 영향을 받아 변동성이 커졌다. 환율 역시 소폭 하락했다.
 
기재부는 "우리 경제의 회복조짐이 점차 강화되고 있으나, 투자 등 민간부문 회복세가 아직은 견고하지 않은 모습"이라며 "미국 양적완화 리스크, 신흥국 불안, 엔화약세 등 대외 위험요인도 여전하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대내외 경제동향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대외 충격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내수 활력제고, 민생안정 노력 등을 지속할 방침이다.
 
(자료=기획재정부)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박진아

지금 이 순간, 정확하고 깊이있는 뉴스를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