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국 철강제품 수입 규제 강화
입력 : 2014-06-06 11:00:00 수정 : 2014-06-06 12:42:13
[뉴스토마토 최승근기자] 미국 정부와 철강업계가 한국 철강제품 수입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강관 등 국내 철강제품의 미국 수출량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규제가 강화되면서 국내 철강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1분기 국내 강관 수출량은 85만4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4%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유정관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7.1% 급증했다.
 
지난해의 경우 유정관(OCTG강관)의 미국 수출 물량은 88만여톤으로, 유정관 전체 수출량의 99.3%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 가운데 최근 미국 제조업연합회는 아시아산 철강제품의 수입 급증으로 자국 철강업체의 수익성이 나빠지고 있다며 미국 정부에 적극적인 수입 규제조치 발동을 요구했다. 앞서 지난달에는 한국산 무방향성 전기강판에 6.91%의 잠정 반덤핑 관세율을 부과한 바 있다.
 
이와 함께 미국 철강업계는 한국산 철못에 대해서도 덤핑 및 상계관세 조사를 요청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미국 철강업체인 미드 컨티넨트 스틸 앤 와이어(Mid Continent Steel&Wire)는 한국, 인도, 말레이시아, 오만, 대만, 터키, 베트남의 강철못이 공정가격 이하로 판매되고 있고, 정부 보조금의 혜택도 받고 있다며 미 상무부와 무역위원회에 제소했다.
 
이 업체는 한국 업체들의 덤핑 수출 및 불법보조금 지급으로 관련 미국 업체들이 피해를 입었다며 57.48%의 덤핑관세 부과를 요청했다. 제소 당한 7개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미국 철강업체들은 지난해 미국이 UAE산 강철못에 대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UAE의 대미 수출이 지난해 전년 대비 33.9%, 2011년 대비 약 69% 하락한 바 있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대미 강철못 수출은 약 5863만달러로 중국과 대만에 뒤이어 3위를 기록했다. 전년도인 2012년과 비교해서는 소폭 하락했지만 2011년과 비교해서는 약 21.35% 증가한 수치다.
 
한편 미국 상무부와 국제무역위원회는 오는 18일까지 조사 개시 여부를 결정할 예장이다.
 
반덤핑 및 상계관세 조사가 개시될 경우 ITC의 산업피해 판정 및 상무부의 덤핑 및 보조금 혜택 여부 판정을 통해 관세 부과 여부가 결정된다.
 
◇미국 정부와 철강업계가 한국 철강제품 수입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사진=뉴스토마토자료)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 최승근